신발에 따른 애환이 유달리 많았던 것은 아마도 내 활동 범위가 그만큼 좁아서 일상의 자잘한 일들이 크게 매듭지고 충격적으로 기억되는 까닭인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유년 시절부터 있었든 신발 기억과 함께 별나게 점철되는 신발 사건이 오늘도 그 한 매듭을 또 맺고 있다.
며칠 휴가 내어서 구미 공업 단지의 취수장 공사 현장을 빠져나온 나는 큰마음 먹고 대구의 중심 번화가에서 아내에게 줄 맞춤 구두 주문 표를 샀다.
아내의 마음을 읽을 좋은 기회라 여기고 버스 안에서나마 홀로 흐뭇했다.
우리 내외가 사는 시골의 읍, ‘거창’에 있는 허다한 구둣방을 다 외어 바쳐도 그때마다 거절하던 ‘에이꼬’, 구두는 도시에서 맞춰야 한다며 막무가내든 아내의 성화를 못 이겨서가 아니라, 내게 맺힌 사연이 있기에 난 이번만은 아내의 의견을 존중한다.
내 속을 아는지 모르는지 아내는 만족하는 기색이다. 그러나 아직은 구두의 허상일 뿐 실물은 아내가 그곳에 가서 발을 재고 얼만가를 기다려야 한다.
기뻐하는 아내를 본 내 눈에 물기가 어린다.
언젠가 홀몸일 때의 한겨울에 서울을 다녀온 뒤부터 내 모르는 겨울 구두가 내 눈에 띄었다. 구두에 민감한 난 아내 몰래 그 구두를 밝은 햇빛 아래에서 자세히 보았더니, 누군가 신던 헌 구두다.
모멸감에 머리를 쥐어뜯고 기둥에 박고 싶은 강한 충동을 느꼈다. 정말로 미칠 것 같았다. 도둑이 되는 심정을 적이 헤아릴 만하다.
이를 악다물고 세월을 깎아서 구두를 짓기로 했다. 내 특유의 냉정한 본심에 호소해서 눈물을 삼키고 주먹을 바라보며 빈손을 확인이라도 하듯 털어 뿌리쳤다. 난 아직 구두와는 먼 관계다!
애써서 외어본다. 그리고 살며시 제자리에 놓았다.
아내는 서울을 다녀오면서도 여느 때와 다르게 행동하지 않았다. 아마도 일념으로 일하는 내 모습이 아내에게 믿음의 싹을 틔우고 있었으리라. 이 믿음이 헌 구두를 얻어 신고도 덤덤히 이겨내는 인동초로 자라고 있는지도 모른다.
쪽마루 한쪽 모서리에 얌전하게 모셔진 부츠 속 흰 털이 내 가슴을 검게 태우고, 솔기가 닳아 회흑색으로 된 검은색 거죽은 내 살가죽을 하얗게 긋는 칼자국이 되어 날 고문하고 있다. 철 아닌 철에도 그 자리에 있건만 부츠의 자리를 옮길 생각일랑 털끝만치도 내겐 없었다. 부츠는 내 마음을 곧게 다지는 인생행로의 이정표였기 때문이다.
한 철이 지나고 나서 넌지시 아내에게 물었다. 아내는 자기에게 부츠를 준 언니의 고생 모습을 되살리더니 수정 같은 눈에 눈물을 괴며 말하였다. ‘언니가 불쌍해!’ 아내는 고생하는 언니의 모습으로 부츠를 바라보고 늘 언니에 대한 기도로 지냈지만, 난 아내에게 만금의 빚을 진 양, 부츠 속에 갇히고 있었다.
그런데 오늘은 그 낡은 부츠 속에서 내가 헤어 나오는 날이다.
재고 신고 다듬고 ‘신꼴’ 치는, 반복의 대구왕래 끝에 아내에 대한 무거운 짐을 벗었다.
아내는 하얀 이를 한동안 감추지 않았다. 한결 살기가 부드러워진 탓이다./외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