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91539.140117 주님을 바라보면서 걷는 삶을 살자
.
“얘야,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
<…>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 들것을 들고 집으로 돌아가거라.”
죄의 용서와 치유가
내적으로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이
구원이 드러나는 자리임을
분명히 보여 주신답니다.
이러한 점에서 보자면 우리 삶에서
구원을 가장 직접적으로 실감하게 되는 사건은
바로 용서일 거랍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통하여
죄를 용서받았음을 깊이 깨닫고,
그에 대한 감사의 응답으로
다른 이를 용서하는 행위를 할 때
우리는 구원을 실제로 살게 된답니다.
그 반면에
용서의 어려움을 체험하고
심지어 용서가 불가능하다고까지 느끼는 순간,
주님의 온전한 구원과
치유에 대한 믿음 역시 흔들리기 시작한답니다.
“이제
저는 부릴 정령도 없고
걸 수 있는 마술도 없고 해서
기도로 구원되지 않는다면
저의 마지막은 절망이 됩니다.
기도는
뚫고 들어가 자비를 움직여서
온갖 잘못을 용서합니다.
여러분도 죄를 용서받으시려거든
관대하게 저를 놓아주십시오.”
<셰익스피어 작
‘템페스트’(폭풍우,‘용서’) 극중 인물 프로스페로 >
우리는
용서가 때로는 불가능할 정도로 어렵다는 것과,
그러나
용서하지 못한다면 행복할 수 없다는,
이 두 가지
모순된 사실을 체험하며 살아간답니다.
프로스페로에게
용서가 삶을 건 도전이었듯이
우리에게도
용서는 그것을 감행할 용기를 요구한답니다.
그것을
어디서 얻을 수 있을까?
바로
우리 죄를 용서해 주시어
온전하게 치유 받고 살아가기를 원하시는
주님의
자비로운 마음이랍니다.
그분을
바라보면서
걷는 우리의 삶이라면,
용서의 힘은
분명히 우리 안에
소리 없이 자라나 있을 거랍니다.
나는? 외통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