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유

외통궤적 2008. 4. 19. 22:03

글 찾기 (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1192.001113. 구유

옛 기억을 더듬다가 소여물 끓여 먹인 일이 생각났다. 이어지는 생각이 여물을 솥에서 남박(나무바가지)으로 퍼서 쇠구성(쇠 구유)에 담아주던 일이 또렷하게 떠오른다. 이 소먹이 구유가 나와 특별한 인연이라도 있는 것 같아서 따로 떼어 생각을 모아 보려고 작정하고 있었다.

 

헌데 막상 꺼내 놓으려고 하니 쇠 구유에 대해서 아무것도 아는 것이 없다. 그저 그때의 감각으로 다른 집의 구유보다 훨씬 크다는 것과 그렇게 큰 것이 어떻게 우리 집에 있게 됐으며, 왜 남달리 컸는가에 대해서 의문이 생기는 것이다. 그에 대해서 나름의 풀이를 늘어놓고, 이 풀이가 맞거나 틀리거나 나와는 상관없이 그때에 존재했든 사실만은 확실하니 나머지부분은 온전히 내 머릿속의 것으로 여겨서 시비의 대상이 아니리라고 치니 마음이 가볍다.

 

‘쇠구성’은 우리고장 사투리인 것을 집을 떠나서야 알았다. ‘소구유’는 남의 나라 말 같아서 그 속에 여물이 담기는 것이 아니라 그저 소의 어느 부분을 속박하는 장치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내겐 ‘쇠구성’이라고 말함으로써 동네의 친근한 이웃이 다가오고 그들과 같이 숨 쉬어질 듯한 착각조차 이는, 아주 정든 이름이다.

 

우리 집 쇠구성이 유달리 큰 것은 그만큼 묵은 집임을 알겠지만 아무리 생각해 봐도 그 큰 나무를 어떻게 마련했으며, 다듬고 자귀로 파는 일을 몇 날을 보냈을까를 생각해보고, 누가 그 일을 했는지를 생각하는, 이런 모든 것이 내 눈으로 본 그것 말고는 도무지 떠오르는 것이 없다.

 

무슨 나무인지는 몰라도 몇 백 년은 되었을성싶고 그런 나무를 자를 수 있음은 자기 집의 소유목이거나 아니라면 마을에서 원로들, 또는 공동의 여론이 수렴돼서야 이룰 수 있는 일이다. 어느 시대이건 만만치 않았을 것인데도 우리 집에 그 큰 쇠구성이 함지박과 더불어 남아 있음은 이즈음같이 사고팔기를 자유로이 하는 시대가 아닌 때임을 견주어서 보면 꽤는 뿌리깊이 박혀있는 집이었든 것 같다.

 

내 어릴 적 우리 집은 종가답게, 할머니의 흔들리지 않은 발 디딤으로 인해서 바닥을 치고 깃을 펴서 창공으로 오르는 때였다. 지나간 것은 다 아름다운 것이려니 생각하다가도 문득 할머니의 나날을 생각하면 아리고 쓰리다.

 

우리 할머니의 겨울철 새벽이 이 쇠구성에서 시작되고 이 쇠구성과 함께 세월을 이어갔기 때문이다./외통-

 

-현재는 모든 과거의 필연적인 산물이며,

모든 미래의 필연적 원인이다.-R.G.잉거솔-

 



'외통궤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방  (0) 2008.04.23
  (0) 2008.04.22
퇴락頹落한 종가  (0) 2008.04.18
전깃불1  (0) 2008.04.17
삿자리  (0) 2008.04.15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