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를 타고 가노라면 ‘장전’ 항이 턱밑으로 한눈에 들어온다.
복주머니 같기도 하고, 항아리 같기도 한 이 항구의 규모는 작다. 하지만, 인근에는 이런 천혜의 항구가 없다. 인공으로 방파제를 억지로 만들어서 파도가 밀려오면 떠밀려 뒤로 무너질 것같이 허전하고, 바다 한가운데 들어가 있는 것 같은, 다른 항구와 같지 않다.
이 항구는 양팔을 펴서 않은 것 같이 항구의 아가리까지 아담하게 솔 덮인 산으로 둘러쳐져서 바닷속에 항구가 있는 것이 아니라 육지 속에 바다를 끌어들인 것처럼 편안하고 정겹다.
요새(要塞)같이 감추어져서, 바다 한가운데에서는 등대가 없다면 항구를 알아볼 수 없을, 천연의 양항(良港)이다. 규모가 작은 것이 아쉽다.
장전항은 인근의 천하 명산 금강산을 뒤로하여 예로부터 뱃길이나 ‘신작로’나 철길로 많은 외지인을 끌어들인 곳이기도 하다. ‘일제’ 강점기 때엔 정어리 고장으로 더 이름이 났든 어항으로 기억되고 있다.
지금은 북한 땅을 밟을 수 있는 유일한 ‘합법 통로’인 장전항구의 외항을 그리면서, 내가 고향을 떠나온 뒤 아직 가보지 못한 곳으로 돌아가 버린 옛날의 필름을 되감아서 잠시 나들이한다.
‘엿 방, 집’ ‘바우’가 어느 날 새까만 교복에다 금빛도 찬란한 중(中) 자 모표를 달고 신작로 한가운데를 유유히 걸어 올라오는 것이 아닌가. 나도 모르게 슬그머니 꽁무니를 빼서 숨어버렸다. 창피하고 부끄러워 마주할 수가 없었다. 공부는 그보다 못하지 않았는데도 이유를 굳이 설명해야 하는, 구차함이 싫었다.
선망(羨望), 이것이 바로 여기 딱 들어맞는 내 심경이었기에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는 집안일을 홀로 곱씹고 또 하늘을 보았다. 내년에는 집안 사정이 조금 나아질 것 같기도 하고, 어쩌면 영영 못 만날 친구 같기도 했다.
그 한해의 생활은 그와 내가 전혀 다른 길을 걷고 있었고 그 후 그는 가족과 함께 남쪽으로 내려갔다는 소문을 들었지만, 반세기가 훨씬 지난 지금까지 그의 행방을 모르고 있으니 어쩌면 이것이야말로 내 탓이 아닌가 생각하게 한다.
그의 교복과 모표가 ‘금강중학교’ 것이고 그 ‘금강중학교’가 ‘장전’에 있었다. ‘일제’ 말기에 생긴 중학교이기에 오 년제였다. 그러나 해방과 함께 편제가 달라졌으리라고 생각된다.
이래서 몽매에도 그리는 고향 산천이건만, 갈 마음이 선뜻 내키지 않는다. 그것은 아픈 상처와 함께 깊이깊이 새기고 아물지 않는 ‘장전’이기도 한 것이기 때문이다.
한해만 더 기다려 보자. 그리고 그날에 내가 농사꾼이 돼서 가문을 이어가거나 아니면 조금이라도 더 배워서 아버지의 한을 풀어 드려야 하나를 생각하기로 하고 일 년간을 삶의 시험장으로 삼기로 했다.
소원대로 일 년 후에 진학할 수는 있었지만, 그 학교는 아니었다. 그래서 또 ‘바우’와 만날 기회를 잃고 말았다.
그는 나와 이렇게 헤어지도록 운명적으로 계획됐고 그대로 진행됐다고 여겨지는 것이다. 이것은 내 몫의 시간을 다 지나 보낸 지금쯤에서야 감히 말할 수 있지 않나 싶다.
다시 짜고 싶은 판이다. 짠다면 이번에는 내가 주도하고 싶다. 하지만 이는 한계를 잊고 허풍 치는 공허한 망상이다.
‘바우야 여우야 날 잡아라.’ 뚱뚱한 그를 놀리고 운동장을 뛸라치면 조금 따라오다가 곧 포기하고 마는 우량(?)아이기에 우리가 그를 놀릴 수 있었지만, 그를 정면으로 대하지 못했든 그의 어른스러운 걸음에 기죽었든 지난날이 잠깐 스쳐 지나간다.
어디 있는지, 한번 만났으면 정말 좋겠다. /외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