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 있는 한두 알의 이슬이 햇볕을 가려주길 애원하며 풀숲에 숨는듯하다. 봇도랑 둑을 두고 양쪽으로 펼쳐진 논은 온통 하얀 벼꽃을 피우고 새 옷을 갈아입어 나간다.
갓 팬 벼 이삭이 가지런히 펼쳐진 이쪽 논배미를 향해서 공격 함성을 지르는 참새 떼가 멀리 철둑길 언덕 싸리나무에 새까맣게 매달려 있다.
일찍 팬 논, 여느 논과 달리 벌써 연초록색으로 물들어서 새가 알아차리기도 좋을 성싶은, 이쪽 논이다.
그렇긴 해도, 정확하게 이쪽으로 몰려오는 한 무리의 참새 떼는 너무나 영악해 보인다.
당숙의 재빠른 방어는 깡통 치기다. 요란한 깡통 소리에 앉지 못하고 벼 포기에 닿을 듯 앉으려다가 그대로 공중 선회하면서 멀리 무리 지어 날아갔다.
연록의 논 바다는 회오리가 몰아친 듯, 파도처럼 출렁인다.
참새 떼는 그 공격을 미리 알고 쫓아야 한다. 한두 마리의 선두 공격조가 벼 이삭에 앉으면 무리는 사생을 불고(不顧)하고 모두 내려앉아 공격한다. 그때 새들을 쫓아냈다 하드래도 이미 쌀이 될 낱알의 물을 빨아 먹어서 쭉정이가 된다는, 새 떼의 무서움을 할머니께 들어 익히 알고 있는 나다.
새의 동향(動向)을 일찍 감지해야 한다.
오늘의 <레이다> 구실을 내가 해야 하고 그 결과는 훗날 벼 이삭이 빳빳이 섰느냐 깊숙이 고개 숙였느냐에 따라서 저절로 판명된다는 것을 알기에, 당숙은 내 비위를 맞추지 않으면 안 된다.
당숙은 공부를 꽤 잘한단다. 오늘 가져온 비행기 만들 감들은 직접 자기 손으로 깎고 다듬어서 이제 조립 단계의 알맹이들만 가져왔다.
촛불을 켜서 조그마한 돌 위에 얹고 그 불 끝에다 이미 다듬어 만든 굵은 실만 한 대나무 가치 한 가운데를 불 위에 슬쩍슬쩍 대어서 조금씩 조금씩 휘어 내는 솜씨가 신묘하다.
불어져야 할 대가치가 포물선처럼 휘어져서, 네 개의 날개 끝을 하나같이 고르게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졌다.
당숙의 솜씨가 절묘했다.
불 위의 대가치를 당숙의 얼굴과 번갈아 보는 나의 눈과는 한 번도 마주치지 않는다.
온 정신을 촛불 위에 모으고, 온 들판의 기운을 대나무 가치로 끌어들이듯, 당숙의 몸은 굳고 머리는 수정 같았으리라.
나는 그사이 몇 차례나 깡통을 두들겼다. 한들 당숙에게는 고요 그것이었을 것이다.
비행기는 완성됐다. 추진 프로펠러 몇 바퀴 돌려서 시험 비행시킨다.
성공이다.
봇도랑 둑 위의 길은 활주로가 되는데, 이 활주로가 천혜의 안전 활주로인 것은 비행기가 이탈 하드래도 주위가 풀밭이니 부서질 리 없고, 또한 떠다니다가 불시착 하드래도 부서질 리 없는, 바다보다 더 안전한, 벼가 팬 황금 들판이 비행기 양발 밑에 펼쳐져 있기 때문이다.
대나무가 곧고 휘지 않고 부러지지 않는 나무인데도 연금사(鍊金師) 같은 당숙의 솜씨에, 나는 새로운 이치(理致)를 깨달았다.
내 손으로 만들어 보지 못하는 것 아쉽지만, 뜨고 나르는 모형 비행기를 보는 것만으로 내 마음을 달래야 했다.
당숙의 공부 자세가 내게 와 닿는 것이다.
이 비행기는 학교 숙제일 것이다.
해서 어린 조카에게 선뜻 넘겨주지 못하였으리라.
훗날 내가 새 떼를 몰아낸 품삯을 톡톡히 받으리라.
지금 새 떼를 막는다면 전자 감응 놀이 비행기를 그 들판에 준비했다가 새 떼가 날아오면 그 새 떼 속으로 장난감 비행기를 출격시켜서 대적해 봄직 한데, 그런 기회가 있을 것인지.
그때 당숙의 모형 비행기는 아직도 내 가슴 격납고(格納庫)에 그냥 그대로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외통-
어린 시절은 인류가 영속되게 하는 생명의 물질을 끝없이 재생산하는 과정의 한 단계이다.(B.쇼)
많은 이가 아쉬운 삶을 살아갑니다. 한을 품고 살아갑니다.
뉘라서 남의 삶을 저울 질 할 수 있겠습니까. 만, 이들에게도 거친 숨결이 감미로운 향기로, 눈가에 어린 물기가 세상을 굴절시켰던, 한 때가 있었을 것입니다.
삶의 진수인 고통이야말로 본연의 내 모습이니 참아 안고 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