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9560.110722 믿음과 사랑
.
“예수님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중풍 병자에게 말씀하셨다.
‘애야, 용기를 내어라,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
유다인들은
죄와 질병을 같은 차원에서 이해했답니다.
그들에게 질병은
죄의 결과이면서 또 죄의 처벌로 생각했답니다.
,
그래서
질병에 걸리면 신체적 고통은 물론
죄인 취급을 당하는
정신적 고통까지도 함께 겪어야 했답니다.
중풍 병자는
그래서 몸만 움직이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까지 마비된 상태였답니다.
율법 학자나 바리사이처럼
이스라엘 전통과 율법에 충실한 사람일수록
병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의 심정을 헤아려 주지 못했답니다.
병자들은
당연히 죄의 벌을 받는 것이기에
고통을 달게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랍니다.
그들은
안식일에는 율법을 지켜야 하므로
사람이 아무리 질병으로 고통스러워해도
어떤 치료도 해주면 안 된다고 생각했답니다.
사랑보다는
법과 전통이 늘 먼저였답니다.
사랑의 온기는 없고
법의 찬 기운만이 감돈답니다.
그런데
중풍 병자의 마음을 헤아리며
연민을 가진 사람들이
그 병자를 예수님께 데리고 왔답니다.
어쩌면
그들은 가난을 함께 나누는
약한 처지의 이웃 사람이었을 거랍니다.
그들에게는
법도 전통도 중요하지 않답니다.
오직
지금 고통 받고 있는
이웃이 더 중요하답니다.
법과 제도를
앞세우며 사는 사람들은
그저 조직의 구성원일 뿐이랍니다.
이들은 신앙생활도
교회 규정만 잘 지키며 살면 되는 것으로 생각한답니다.
그들은 늘 냉정하답니다.
그러나
공동체는 누군가 고통을 받으면
아픔을 함께 나누는 하나의 지체가 되어 사는 것을 말한답니다.
주님께서는
법과 제도로 일하시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믿음과 사랑으로 일하신답니다.
나는? 외통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