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맘때면 떠오르는 홍랑의 시조. 새록새록 사무치는 명편이다. 하지만 그녀는 생몰 기록도 없는 조선 시대의 여성이자 기생. 정인(情人)이었던 고죽(孤竹) 최경창(1539~1583)을 통해 연대를 짚어볼 뿐이다.
고전 시가에서 즐겨 쓴 정표 같은 버들. 홍랑은 그 버들도 골라 꺾어 님의 손에 쥐여 보내겠단다. 급이 높은 이별의 운치다. 게다가 쥐여 보낸 버들을 창 밖에 심어두고 보라니, 밤비에 새잎이 나거든 나인가도 여겨달라니, 어느 사랑이 이리 애틋하랴! 홍랑을 부임지까지 데려가 살림을 차렸다가 파직당한 고죽의 심중을 짐작할 만하다.
'시인 홍랑의 묘(詩人洪娘之墓)'는 그런 사랑의 파격이자 격조다. 고죽의 시를 품고 3년 시묘를 한 홍랑의 지극함에 감동한 최씨 문중이 고죽 가까이에 그녀의 묘와 시비(詩碑)를 세워준 것. 그 앞뒤에는 홍랑 시조와 최경창의 한역시가 오롯하니, 시를 아는 문중의 대접도 아름답다. 그런데 고죽 곁의 홍랑은 여인으로 행복할까, 시인으로 더 충만할까? 아무려나 버들을 꺾어 보낼지라도 부디 꽃 봄이길!
/정수자 :시조시인 /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