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파 - 필
■ 파경 破鏡
[깨뜨릴 파/거울 경]
☞깨어진 거울. 이지러진 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부부가 인연을 끊음.
[원]
破鏡不照--깨어진 거울은 다시 비추지 않는다
[동]
파경중원破鏡重圓/파경지탄破鏡之歎
[유]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낙화불반지落花不返枝/복수불수覆水不收
[출전]
『神異經』『태평광기』
[내용1]
陳의 궁중 관리였던 서덕언(徐德言)은 隨나라의 대군이 쳐들어오자‘당신은 노예가 되어 수나라의 귀족에게 잡혀갈 것이니, 우리 증표로 이것을 나눠 가집시다. 당신은 내년 정월 대보름날, 장안의 길거리에서 팔도록 하시오.’하고는 거울을 꺼내 두쪽으로 깨뜨린(破)다음 나누어 가졌다.
과연 진나라가 망하고 아내는 장안으로 잡혀가 수나라 귀족 양소의 노예가 되었다. 이듬해 정월 대보름날, 서덕언은 장안의 길거리에서 노파가 깨어진 거울을 팔고 있는 모습을 발견했다. 슬그머니 다가가 맞추어 보았더니 영락없는 아내의 거울이었다. 그때부터 식음을 전폐하고 울기만 했다. 이상히 여긴 양소(楊素)가 사연을 듣고 감동하여 두 사람을 만나게 해주었으며, 마침내 옛날처럼 행복하게 살 수 있었다.
오늘날 파경(破鏡)은 본래 고사의 뜻과는 달리 부부간의 갈라섬을 의미하고 있다. 한편 귀감(龜鑑)이란 말은 처신과 관련하여 생겼다. 옛날 중국에서는 거북의 등을 불에 구워 갈라지는 금을 보고 길흉을 점쳤다. 그것을‘귀(龜)’라 했는데, 귀는 거북의 모습을 위에서 본 그림이다.‘감(鑑)’은 거울이 없던 시절 거울 역할을 했던 물그릇에 비춰진 모습이다. 그러므로 귀감이란 말은 거북과 거울에 나타난 조짐이나 모습을 보고 자신을 바로 잡는다는 뜻이다. 이에 유래하여 오늘날 귀감은‘
거울 삼아 본받을 만한 모범
’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내용2]
옛날 어느 부부가 이별할 때 거울을 둘로 쪼개어 한 쪽씩 나누어 가지고 뒷날 다시 만날 증표로 삼았으나, 아내가 불의를 저질러 거울의 한쪽이 까치로 변하여 남편에게 날아와 부부의 인연이 끊어졌다는 데에서 유래한 말『태평광기』
[예문]
▷ 아이를 빨리 낳았더라면 네 부부가
파경을 당하진
않았을 거야.≪김승옥, 서울의 달빛≫
▷ 아베 총리는 취임후 식민지배와 침략 역사의 잘못을 인정한 일본 정부의 종전 입장을 수용했다. 하지만 전범에 대해서는 “국내법상으로 전범이 아니다.”라고 말하는가 하면 야스쿠니 신사 참배는 언급을 피하는 모호한 전략으로 임하고 있다.‘모호성 전략’은
언젠가는 파경에 이를 수밖에 없으며
양국 관계에 오히려 해가 될 뿐이다.<2006 서울신문>
■ 파과지년 破瓜之年
[깨뜨릴 파/오이과/어조사 지/해 년]
☞여자나이 16세,남자나이 64세
[준]
破瓜
[출전]『정인벽옥가(情人碧玉歌)』
[내용]파과지년(破瓜之年)'이란 말은 '瓜(과)'자를 세로로 한가운데를 나누면 두 개의 '八(팔)'자가 되는데, 이것을 합하면 16, 곧 여자의 나이 16세를 가리키는 수(數)가 되고, 또 이것을 곱하면 64가 되어 남자의 나이 64세를 가리키는 수가 된다는 데서 온 말이다. 약칭으로 '파과'라고도 한다. '파과(破瓜)'는 '외를 깨친다'라는 뜻으로, 오이를 여성으로 비유하여 여자의 나이 16세를 가리킨다. 또 여자가 처녀를 깨친다 하여 '처녀성을 잃는다'는 의미와 '초경이 시작되는 나이'를 가리키기도 한다. 중국 진(晉)나라의 손작(孫綽)의 시 《정인벽옥가(情人碧玉歌)》에 이 말이 나온다.
푸른 구슬이 외를 깨칠 때[碧玉破瓜時(벽옥파과시)]
님은 마음을 쏟아 사랑을 한다[郎爲情顚倒(낭위정전도)]
낭군에게 마음을 느껴 부끄러워하지 않고[感君不羞(감군불수난)]
몸을 돌려 님의 품에 안겼네[廻身就郎抱(회신취랑포)]
이 시는 연애시로서, 여기서 '과(瓜)를 깰 때'란 말은 여자가 처녀를 깨친다는 뜻이며, 초경이 시작됨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 사랑을 알게 되는 16세를 가리키기도 한다. 청(淸)나라의 문인인 원매(袁枚)의 시론(詩論) 《수원시화(隨園詩話)》에는 '외를 깨치니, 즉 풀어서 말하여 첫 월경이 시작되었을 때, 외를 깨침과 같이 , 곧 홍조를 보게 된다, 안 그런가[破瓜 或解以爲月事初來 如破瓜則見紅潮者 非也]?'라는 말이 있다. 또 청나라의 적호(翟灝)의 《통속편(通俗編)》에는 '살피건대, 풍속에 여자가 몸을 깨침으로써 외를 깨친다 하거니와, 안 그런가[按俗以女子破身爲破瓜 非也]?'라고 되어 있다. 여기서 '파과'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초경의 시작과 처녀성을 잃는다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이밖에도 '파과'는 남자의 나이 64세를 비유하여 쓰이기도 하는데, 남자로서 이 나이가 되면 혼자서 잠자리에 드는 나이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송(宋)나라의 축목(祝穆)이 쓴 《사문유취(事文類聚)》에는, 당나라의 여동빈(呂洞賓)이 장기에게 보낸 시에 '공성당재파과년(功成當在破瓜年)'이란 것을 들어, '파과'는 남자의 나이 64세의 뜻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두산백과>
■ 파라척결 爬羅剔抉
[긁을 파/벌일 라/뼈바를 척/도려낼 결]
☞손톱으로 후벼 파내듯이 남의 비밀이나 약점을 들추어냄/숨은 인재를 널리 찾아 냄
[유]
취모구자[吹毛求疵]--털을 불어 헤쳐가며 그 속의 흠집을 찾는다
[예문]
계파나 지역기반 같은 자산 없이 이런 대접을 받는 경우도 드물다. 그래도 그는 후보 출마를 할지 말지 숙고 중이다. 굳이 떠난 사람을 쫓아다니며 보채는 여당의 인재난을 절감한다. 그럴수록 부박(浮薄)한 인기의 종착지가 궁금하다.
결국 강금실이 서울시장 후보로 나설지 말지 알 수 없는 시점이지만, 새삼 파라척결(爬羅剔抉)이라는 말을 떠올리게 된다. 거기에는 좋은 인재를 발굴한다는 의미, 달리는 손톱으로 파헤치듯 검증한다는 뜻도 있다. 강금실 신드롬은 어느 쪽으로 흐를까?<2006 동아일보>
■ 파란만장 波爛萬丈
[물결 파/물결 란/일만 만/길이 장]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이 여러 가지 곡절과 시련이 많고 변화가 심함
[예문]
▷ 파란만장의 일생
▷ 지금 잘 사니까 다행이지만 생각해 보면 어찌 그렇게 파란만장을 겪으면서 혼사가 이루어졌는지 신기합니다.≪박경리, 토지≫
▷ 파란만장한 생애
▷ 파란만장한 근·현대사
▷ 그는 향년 78세를 일기로 파란만장한 삶을 마쳤다.
■ 파렴치 破廉恥
[깨어질 파/청렴할 렴/부끄러울 치]
☞ 염치가 없어 도무지 부끄러움을 모름
[출전]
『管子』 牧民篇
[내용]
염치(廉恥)는 청렴(淸廉)하고 수치(羞恥)를 아는 마음이다. 따라서 파렴치 (破廉恥)하면 그 반대의 뜻으로 잘못을 범하고도 도무지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하는 마음이라 하겠다. '몰염치(沒廉恥)한 사람', '후안무치(厚顔無恥)한 사람'이라고나 할까.
관포지교(管鮑之交)로 유명(有名)한 관자(管子)의 목민편(牧民篇)에 보면 나라를 버티게 하는 네 가지 덕목(德目)이 나온다. 예의염치(禮義廉恥)가 그것으로 일명(一名) '사유(四維)'라고도 한다.
그런데 사유(四維)중 하나가 없으면 나라가 기울게 되고, 둘이 없으면 위태롭게 되며, 셋이 없으면 뒤집어지고, 모두 없으면 그 나라는 파멸을 면하지 못하게 된다고 했다.곧 예의염치(禮義廉恥)는 나라를 존재케 하는 매우 중요한 기본 덕목인 셈이다. 그러니까 파렴치(破廉恥)가 판을 치게 되면 나라가 위태롭게 된다.
후에 오면 여기에다 효제충신(孝悌忠信) 네 덕목(德目)을 합쳐 팔덕(八德) 이라 했다. 앞서 사유(四維)가 나라를 떠받치는 데 필요한 덕목이라면 팔덕(八德)은 인간관계(人間關係)에서 지켜야 할 네가지 덕목인 셈이다.
곧 사유(四維) 팔덕(八德)은 인간으로서 지녀야 할 기본 도덕률인 것이다.
중국에서는 예부터 팔덕(八德)을 망각(妄覺)한 자(者)는 '망팔(忘八)'이라 하여 인간 취급을 해주지 않았다. '망(忘)'이 가장 흔한 성(性)씨인 '왕(王)'과 발음이 같아 그런 사람을 '놈'이라는 뜻의 '단(蛋)'을 덧붙여 '왕팔단(王八蛋 -왕빠딴)이라고 했는데 지금도 중국에서는 가장 심한 욕(辱)이 되고 있다.파렴치(破廉恥)나 왕팔단(王八蛋)은 사람이 기본으로 갖추어야 할 덕목을 결여 (缺如)했을 때 얼마나 무서운 결과가 뒤따르는지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예문]
▷ 도둑이 되는 것도 끈기와 파렴치와 무엇보다도 용기가 필요한 법이다.≪홍성원 육이오》
▷ 27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238조5000억원(총지출 기준) 규모의 2007년도 예산안과 관련, 한나라당은 “‘세금 폭탄’에 ‘빚 폭탄’으로
미래세대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파렴치한 일
”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다.<2006 데일리안>
■ 파부침선 破釜沈船
[깨뜨릴 파/가마솥 부/잠길 침/배 선]
☞밥짓는 솥을 깨고 돌아갈 때 탈 배를 가라앉힌다-필사의 각오로 싸움
[동]
기량침선[棄糧沈船]
[유]
배수진[背水陣]
[출전]
『사기』
[내용]진(秦)나라를 치기 위해 군사를 일으킨 항우(項羽)가 쥐루[鉅鹿]의 싸움에서, 출진(出陣)에 즈음하여 타고 온 배를 가라앉히고 사용하던 솥을 깨뜨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다음의 이야기가 나온다.
진(秦)나라 말기 영웅들이 천하를 다툴 때의 이야기이다. 급격히 추진된 진나라의 통일정책과 대국민 토목공사 등으로 백성들의 부담이 가중되면서 민심이 동요하기 시작하자, 진 시황제 말년에 극단적인 탄압정책이 시작되었다. 진나라의 폭정을 견디다 못한 백성들은 시황제의 죽음을 계기로 여기저기서 들고일어났다. 이에 진나라는 장군 장한(章邯)을 내세워 항량(項梁)을 정도(定陶)에서 대패시키고 그를 죽게 했다. 장한은 이 승세를 타고 조왕(趙王)을 크게 격파하고, 쥐루를 포위하였다. 그러자 이에 맞서 항량의 조카 항우는 영포(英布)를 보내 막게 했지만 역부족이었다. 다급해진 조왕의 대장 진여(陳餘)가 항우에게 구원병을 요청하기에 이르렀다.
항우는 진나라를 치기 위해 직접 출병하기로 했다. 항우의 군대가 막 장하를 건넜을 때였다. 항우는 갑자기 타고 왔던 배를 부수어 침몰시키라고 명령을 내리고, 뒤이어 싣고 온 솥마저도 깨뜨려 버리고 주위의 집들도 모두 불태워버리도록 했다. 그리고 병사들에게는 3일 분의 식량을 나누어 주도록 했다. 이제 돌아갈 배도 없고 밥을 지어 먹을 솥마저 없었으므로, 병사들은 결사적으로 싸우는 수밖에 달리 방법이 없었다. 과연 병사들은 출진하라는 명령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적진을 향해 돌진하였다. 이렇게 아홉 번을 싸우는 동안 진나라의 주력부대는 궤멸되고, 이를 계기로 항우는 제장(諸將)의 맹주가 되었다. 이 고사에서 유래된 '파부침주'는 결사적인 항전태세를 갖추게 한다는 의미로 비유되어 사용된다. '파부침선(破釜沈船)', '기량침선(棄糧沈船)'과 같은 말이다. <두산백과>
■ 파사현정 破邪顯正
[깨뜨릴 파/사악할 사/드러낼 현/바를 정]
☞그릇된 것을 깨뜨리고 올바르게 바로잡음.
[준]
파현[破顯]
[내용]
불교에서 나온 용어로, 부처의 가르침에 어긋나는 사악한 생각을 버리고 올바른 도리를 따른다는 뜻이다. 사악한 것을 깨닫는 것은 사고방식을 바꾸는 것을 의미하므로 얽매이는 마음을 타파하면 바르게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용어는 특히 삼론종(三論宗
)의 중요한 근본 교리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두산백과>
[예문]
▷ 또한 민주주의는 소수의 의견을 존중해야 하는데 이것을 더 확대하는 것이 불교사상에서 가르치는 수순중생(隨順衆生:중생을 따르고 그에 순종한다)을 몸소 실천한다고 하면 오늘의 우리 국회와 같은 혼란과 충돌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불교사상에서 가르치는
파사현정(破邪顯正)으로 시(是)는 시로 비(非)는 비로 밝혀서
부정한 것은 깨치고 바른 것은 드러내어야 하는 것을 무시해서는 안될 것이다---<민주주의와 화백정신>
▷ 그는 "검사는 사적 연고나 정치적 고려, 왜곡된 여론에 영합하는 결정을 내려서는 안된다"며 "
파사현정(破邪顯正)의 정신
으로 모든 압력과 유혹을 물리치고 때로는 희생도 감수해야 한다"고 피력했다.<2006 뉴시스>
■ 파안대소 破顔大笑
[깨뜨릴 파/얼굴 안/웃을 소]
☞얼굴 빛을 부드럽게 하여 얼굴이 찢어질 정도로 한바탕 크게 웃음
[유]가가대소[呵呵大笑],홍연대소[哄然大笑]
[내용]그대로 풀이하면 얼굴이 찢어질 정도로 크게 웃는다는 뜻이다. 그만큼 즐거운 표정으로 한바탕 크게 웃는 웃음을 비유한 한자성어이다. 그러나 입이 찢어질 만큼이라고 해서 경망스럽게 웃는 웃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시원스럽게 웃는 즐겁고 유쾌한 웃음을 가리킨다.
재미있는 일이나 유쾌한 장면을 보았을 때 자연스럽게 한바탕 터져 나오는 웃음이 파안대소이다.그러니 자신도 모르게 얼굴이 밝게 펴져 얼굴빛이 부드럽고 넉넉할 수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웃음을 참지 못해 배를 안고 넘어질 정도로 몹시 웃는 포복절도(抱腹絶倒)·봉복절도(捧腹絶倒)와는 다르다.
같은 뜻으로는 파안일소(破顔一笑)가 있다. 역시 즐거운 표정으로 한바탕 웃는다는 뜻이다. 최남선(崔南善)은 저서 《금강예찬(金剛禮讚)》에서 금강산 만폭동(萬瀑洞)에 있는 묘길상(妙吉祥:고려시대 마애불)을 보고 "이 파안일소할 것 같은 입초리에선 비지(悲智)가 뚝뚝 떨어질 듯하다"고 묘사하였다.<네이버백과>
■ 파죽지세 破竹之勢
[깨뜨릴 파/대나무 죽/어조사 지/형세 세]
☞대가 결 따라 쪼개질 때와 같은 형세라는 뜻으로 감히 대적할 수 없을 정도로 막힘 없이 무찔러 나아가는 맹렬한 기세.거침없이 일이 잘 풀리거나 처리됨을 비유하는 말
[동]勢如破竹(세여파죽) : 세력이 대나무를 쪼개는 것과 같다. /士氣衝天(사기충천) : 하늘을 찌를 듯 높은 사기./영인이해 (迎刃而解) 영도이해(迎刀而解)': "칼날을 맞이하여 풀린다"는 말로, 일이 매우 쉽게 풀림을 비유/ 席卷之勢(석권지세) : 자리를 말아가는 듯한 형세. 무서운 힘으로 세력을 펼치거나 쓸 기 세. 乘勝長驅(승승장구) : 싸움을 이긴 김에 계속 휘몰아 가다. 旭日昇天(욱일승천) : 아침 해가 떠오르는 듯한 기세. [속담]방죽 터진 물 같다.
[출전]『晉書』 杜預傳
[내용1] : 진(晉)나라의 진남대장군(鎭南大將軍) 두예(杜預)가 진무제(晉武帝)로부터 출병 명령을 받아 20만 대군을 거느리고 오(吳)나라를 쳐서 삼국시대의 막을 내리고 천하통일을 이룰 때의 일이다. 출병한 이듬해 음력 2월, 무창(武昌)을 점령한 두예는 휘하 장수들과 오나라를 일격에 공략할 마지막 작전회의를 열었다. 이때 한 장수가 '곧 강물이 범람할 시기가 다가오고, 또 언제 전염병이 발생할지 모르니 일단 후퇴했다가 겨울에 다시 공격하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했다.
그러자 두예는 단호히 명령조로 대답했다. "지금 우리 군사들의 사기는 하늘을 찌를듯이 높다. 그것은 마치 '대나무를 쪼갤 때의 맹렬한 기세[破竹之勢]'와 같다. 대나무란 일단 쪼개지기만 하면 그 다음부터는 칼날을 대기만 해도 저절로 쪼개지는 법인데, 어찌 이런 절호의 기회를 놓칠 수 있단 말인가." 두예는 곧바로 군사를 재정비하여 오나라의 도읍인 건업(建業)으로 진격하여 그야말로 파죽지세처럼 몰아쳐 단숨에 건업을 함락시켰다. 오왕 손호(孫晧)는 손을 뒤로 묶고 수레에 관을 싣고 사죄의 뜻을 보이며 항복해왔다.
[원문]預曰 今兵威가 已振하여 譬如破竹이니 數節之後에 皆迎刃而解라** 預(미리 예) 威(위엄 위) 振(떨칠 진) 迎(맞이할 영) 刃(칼날 인)
[참고] 두예 : 진(晉)나라 초엽의 명장 정치가 학자. 자는 원개(元凱). 진나라의 초대 황제인 무제(武帝) 때 대장군(大將軍)이 되어 오(吳)를 정벌하고 삼국 시대에 종지부를 찍는 무공을 세움.《춘추(春秋)》《고문상서(古文尙書)》에 통달한 학자로도 유명함. 저서로는《좌전집해(左專集解)》《춘추석례(春秋釋例)》등이 있음. (222∼284).
[예문]
▷ 그는 "한국 경제가 위험한 암초 지역에 들어섰다"고 운을 뗐다. 중국과 인도.브라질 등은 파죽지세로 성장하는데 한국은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4% 안팎의 성장에 머물렀고, 내년에도 답보를 면키 어렵다는 것이다 <2006 중앙일보>
▷ 홍계훈이 이끌고 내려온 장위병 일천 명을 당해 내지 못하고 파죽지세에 밀려 일시에 산산조각이 났다는 거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파증불고 破甑不顧
[깨뜨릴 파/시루 증/아니 불/돌아볼 고]
☞'깨진 시루는 돌아보지 않는다' 지나간 일은 아쉬워하여도 소용없으므로 깨끗이 단념함
[출전]『후한서(後漢書)』
[내용] 후한(後漢) 때 맹민(孟敏)이란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그는 시루를 등에 짊어지고 가다가 땅에 떨어뜨려 산산조각을 내고 말았지만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태연히 걸어갔다.
당시 존경받는 대학자였던 곽태(郭泰)가 이 장면을 목격하고 “시루가 깨졌는데 어찌하여 돌아보지도 않으시오”라고 물었다.
그러자 맹민은 “이미 시루가 깨져 버렸는데 돌아본들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라고 대답했다. 이에 곽태는 그가 대범하고 결단력 있는 인물임을 알아보고 학문에 힘써 줄 것을 권유했다. 훗날 맹민은 글공부에 전념해 큰 학자가 되었고, 삼공(三公)의 지위에 올랐다.
이 고사에서 유래한 파증불고는 ‘지나간 일이나 만회할 수 없는 일에 대해 미련을 두지 않고 깨끗이 단념함’을 이르는 말이다.
■ 파천황 破天荒
[깨뜨릴 파/하늘 천/거칠 황]
☞아무도 못했던 일을 처음으로 성취함,이제까지 아무도 하지 못했던 일을 성취함을 비유하거나 썩 드문 성씨의 가문 또는 양반 없는 시골에서 인재가 나와 원래의 미천한 상태를 벗어남을 이르는 말이다 **천황-천지가 열리기 이전의 혼돈한 상태
[유]미증유[未曾有]/,전대미문[前代未問]/전인미답[前人未踏]/파벽[破僻]
[출전]『北夢鎖言』
[내용]
당(唐)나라 때 형주(荊州)에서는 매년 관리등용시험에 응시자는 있었으나 합격자가 없어 사람들은 형주를 '천황'의 땅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유세가 처음으로 합격하자, 사람들은 천황을 깬 자가 나왔다며 유세를 가리켜 '파천황'이라고 일컬었다
는 고사에서 비롯되었다. 당나라 때 과거의 주류는 시부(詩賦)의 창작 능력을 주로 한 학력검정시험인 진사과(進士科)였다.
시험자격은 각 지방에 설치한 국립학교의 성적이 우수한 자와 지방장관이 시행하는 선발시험에 합격하여 장관이 중앙에 추천하는 자의 두 종류가 있었다. 후자의 선발시험 합격자를 '해(解)'라고 불렀는데, 모든 일에 통달해 있는 사람이란 뜻이다.
다음은 송나라의 손광헌(孫光憲)이 지은 《북몽쇄언》 권4에 나오는 글로, 여기에 '해(解)'가 보인다. "당나라의 형주는 의관들이 모이는 곳이니 해마다 사람들을 천거하여 해(解)로 보내도 이름을 많이 이루지 못한다. 이름하여 말하기를 '천황해(天荒解)'라고 한다. 시종(侍從)이 된 유세가 형주의 해로서 급제했다. 그래서 '파천황'이라고 불렀다." 당나라 때 형주는 학문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으로, 해마다 지방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을 중앙에 보냈지만, 급제하는 사람이 없었다. 그래서 형주는 '천황해(天荒解)'라고 불렸다. 그런데, 뒤에 시종이 된 유세가 형주의 지방시험 합격자로서 처음으로 중앙시험에 합격했다. 그래서 그를 일러 '파천황'이라고 했다.
유세의 급제가 얼마나 화제가 되었는가 하는 것은, 당시 형남군절도사(荊南軍節度使)인 최현(崔鉉)이 '파천황전(破天荒錢)'이라고 하여 상금 70만 전을 유세에게 보낸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오늘날 이 말은 '전대미문(前代未聞)', '전인미답(前人未踏)', '미증유(未曾有)'의 뜻으로 사용된다. 또, 벽성(僻姓)이나 무반향(無班鄕)에서 인재가 나와 본디의 미천한 처지에서 벗어나는 일을 뜻하는 '파벽(破僻)'의 의미로도 쓰인다. <두산백과>
[예문]
▷ 동물의 힘을 이용하여 쟁기를 사용하는 집약 농경 시대에 이르러 비로소 농업 생산력이 높아졌으며, 식량의 잉여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농업에 의한 생산 기술의 발달을 고든 차일드 같은 고고학자는 신석기 시대의 혁명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이 시대의 문화가 그 때까지 전혀 없었던 새로운 생활 양식으로 들어가는 전환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기 때문이다.
▷ 그것은 아무도 예측하지 못했고, 도무지 믿어지지 않는 파천황의 사태였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 파탄 破綻
[깨뜨릴 파/터질 탄]
☞그릇 따위가 깨지거나 옷이 해지는 것/ 일이나 계획 따위가 원만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중도에서 잘못됨/상점, 회사 따위의 재정이 지급 정지의 상태가 됨
[내용]破는 돌(石)의 껍질(皮)을 벗기는 것이며,綻은 絲로 고정(定)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그것은 옷이 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綻의 본디 뜻은「해진 옷」이며 옷이 해져 속살이 허옇게 드러나는 것이 綻露다. 곧 破綻은 「그릇 따위가 깨지거나 옷이 해지는 것」으로「틈」「허점」을 말한다. 물론 그렇게 되면 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지금은 일이 그르치게 되는 뜻으로 사용된다.
[참고]中國 三國時代 赤壁大戰이 있기 直前의 일이다. 吳의 周瑜는 曹操의 百萬大軍을 目前에 두고 걱정이 泰山같았다. 그래서 나온 것이 유명한 詐降計(거짓 항복하는 계략)다. 周瑜는 함택(咸澤)을 시켜 詐降書(거짓 항복문서)를 바치게 한다. 그러나 詐降書를 읽어본 曹操는 오히려 冊床을 치면서 벽력(霹靂)같이 화를 냈다. "네놈들은 術策을 부리고 있다. 내 네 놈들의 그 破綻(허점)을 알려 주지. 왜 降伏時間을 明示하지 않았느냐." 그러나 咸澤은 조금도 흐트러짐 없이 堂堂하게 말했다. "主人을 背反하는 데 어찌 時間을 定한단 말입니까. 兵法을 익혔다면서 承相께서는…." 그제서야 曹操는 自身의 잘못을 빌었다. 그러나 그것이 周瑜의 꾀였을 줄이야. 破綻(허점)까지 눈치챈 曹操였지만 赤壁大戰에서 周瑜의 軍士에게 大敗하고 만다.
[예문]
▷ 남편의 외도로 결혼 생활이 파탄에 이르렀다.
▷ 농촌 경제가 파탄에 이르렀다.
▷ 재산이 너무 많아서 가정이 파탄되는 일이 많지마는, 집안이 너무 가난하여도, 그것이 가정불화의 원인으로 되는 일이 많다.≪이희승, 소경의 잠꼬대≫
▷ 협상이 파탄되다
▷ 파탄된 국가 경제를 다시 일으키다.
▷ 사랑 없는 결혼은 파탄할 수 밖에 없다.
▷ 다시는 외환 보유고의 부족으로 국가 경제가 파탄하는 누를 범해서는 안 된다.<출처 : 네이버>
■ 파파노인 皤皤老人
[흴 파/늙을 로]
☞머리털이 하얗게 센 늙은이
[예문]미국에서는 공원에만 가면
육칠십 년 넘은 파파노인들
이 진종일 의자에 우두커니 걸터앉아서 하루해를 지루하게 보내는 것이 보통입니다.≪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 팔년풍진 八年風塵
[해 년/바람 풍/먼지 진]
☞여러 해 동안 고생을 함.
[동]
팔년풍화[八年風禍]
[유]
만고풍상[萬古風霜]
[출전]『史記』
[내용]
유방이 항우를 멸하는데 8년이나 고생을 함
[예문]
얼씨구나 들어가요. 저절씨구나 들어가요. 일자 한장을 들고보소 일월성성 왜성성 밤중 샛별이 완연하구나. 이자 한장을 들고 보소 이팔청춘 소년들아 백발보고 웃지 말게. 석삼자를 들고 보소 삼만관속 늘어서고 권마성으로 세월이라. 넉사자를 들고 보소 사신행차 바쁜 길에 점심 참이 더디고나. 오자 한장을 들고 보소 오관참장관운장은 적토마를 비껴타고 흔들거리고 나려온다. 육자 한장을 들고 보소 육관대사 성진이 석교상 좁은 길에 팔선녀를 희롱하고 칠자 한자나 들고 보소 대한칠년 왕가뭄에 빗발 조차 더디고나.
팔자 한 장을 들고 보소 팔년풍진 초패왕이 어느 패왕이 아니드냐.
구자 한장을 들고 보소 구름에 중중 늙은 중이 백팔염주 목에 걸고 흔들거리고 나려온다. 장수 한 장을 들고 보소 이장 저장 다버리고 강령장이 좋다기로 불원천리허고 왔드니 동정 허는 이가 전혀 없구나. 얼씨구나 잘한다. 절씨구나 잘한다.<강령탈춤 중에서>
■ 팔자 八字
[패할 패/버들 류/쇠잔할 잔/꽃 화]
☞사람의 한 평생의 운수. 사주팔자에서 유래한 말.
[해설]
중국은 농업국가였던 만큼 해와 달의 변화에 민감했으므로 시간은 그와 같은 자연현상을 기준으로 삼아 정했는데 년월일시(年月日時)가 그것으로 사주(四柱)라 한다. 사주를 표시하는 방법은 간지(干支)를 이용하는 것이었다. 곧, 갑을병정(甲乙丙丁)과 자축인묘(子丑寅卯)를 순차적으로 배합하는 것이다. 이렇게
연월일시마다 각각 두 자(字)로 표현했으므로 사주는 도합 여덟 자
가 되는데 이것이 [팔자]다. 팔자는 태어난 연월일시인 셈이다.
[예문]
▷사람 팔자 시간문제라더니 그 친구가 졸지에 거리에 나앉게 될 줄 누가 알았겠나?
▷그런 팔자를 타고난 걸 난들 어쩌겠소.
▷[속담] 팔자 도망은 못한다, 팔자는 독에 들어가서도 못 피한다.
▷[속담] 팔자가 사나우니까 의붓아들이 삼 년 맏이라
닥친 일이 여의치 못함을 탄식하여 이르는 말.
▷[속담] 팔자가 사나우면 시아비(총각 시아비)가 삼간 마루로 하나
1 여자의 처지가 매우 어렵고 기막힘을 한탄하여 이르는 말.
2 도저히 있을 수 없는 망측한 꼴을 보았다는 말.
▷[속담] 팔자가 좋으면 동이 장수 맏며느리가 됐으랴
팔자가 사나워 동이 장수의 맏며느리가 되어 줄곧 머리에 동이를 이고 다니게 되었다는 뜻으로, 팔자가 좋다는 말을 들었을 때에 무엇이 좋으냐고 반문하는 말.
▷[속담] 팔자는 길들이기로 간다
습관이 천성이 되어 사람의 일생을 좌우할 수 있다는 말.
▷[속담] 팔자는 독에 들어가서도 못 피한다
운명은 아무리 피하려고 하여도 피할 수 없다는 말. ≒팔자 도망은 못한다.
▷[관용구] 팔자(가) 늘어지다
근심이나 걱정 따위가 없고 사는 것이 편안하다.
작년 가을 이후로는 팔자가 늘어져서 조석은 물론 굶지 않거니와….≪채만식, 탁류≫
▷[관용구] 팔자(를) 고치다
1 여자가 재혼하다.
지금이라도 팔자 고치고 행복하게 살아 보아라.
2 가난하던 사람이 잘살게 되다.
부동산 값이 올라서 팔자를 고쳤다.
3 신분이 낮은 사람이 지위를 얻어 딴사람처럼 되다.
국회의원이 되었으니 이제 팔자 고치지 않았겠어?
군수한테서 편지가 오다니, 양 생원 인제 팔자 고치는 거 아닌가?≪하근찬, 나룻배 이야기≫
▷[관용구] 팔자에 없다
분수에 넘쳐 어울리지 아니하다.
이거 팔자에 없는 마님 소릴 듣고 밤새 급살이라도 만나면 어떡하지?≪박경리, 토지≫
■ 팔황 八荒
[여덟 팔/거칠 황]
☞온 세상 육합(六合), 팔극(八極), 팔방(八方)
[예문]
■ 패류잔화 敗柳殘花
[패할 패/버들 류/쇠잔할 잔/꽃 화]
☞잎 떨어진 버드나무와 시든 꽃, 아름다움을 잃은 미인, 권세를 잃은 고관대작
■ 팽두이숙 烹頭耳熟
[삶을 팽/머리 두/귀 이/익을 숙]
☞머리를 삶으면 귀까지 익는다. 한가지 일이 잘되면 부수적인 일도 저절로 잘된다
[동]
망거목수[網擧目隨]--그물을 들면 그물 눈도 따라 올라간다
■ 포두서찬 抱頭鼠竄
[안을 포/머리 두/쥐 서/숨을 찬]
☞무서워서 달아나는 쥐처럼 몰골사납게 얼른 숨음
■ 포락지형 火包烙之刑
[통째로 구울 포/ 지질 락/어조사 지/형벌 형]
☞구리 기둥에 기름을 바르고 그 아래 이글거리는 숯불을 피워 놓은 후 구리 기둥 위를 죄인들로 하여금 맨발로 걸어가게 하는 형벌
[출전]
『사기(史記)』 은본기(殷本紀)
[내용]
은의 폭군 주왕이 쓰던 형벌로 구리 기둥에 기름을 바르고 그 아래 이글거리는 숯불을 피워 놓은 후 구리 기둥 위를 죄인들로 하여금 맨발로 걸어가게 하는 형벌이었다.
불 속에 떨어져 죽느냐? 기름 기둥을 무사히 건너느냐? 절박한 갈림길에서 공포에 질린 채 구리 기둥을 걷는 죄인들. 두세 걸음만 더 걸으면 목숨을 건질 수 있는 찰나에 불 위에 떨어져 비명을 지르며 살이 타들어가는 소리를 듣고 비로소 쾌감을 느끼는 달기의 환심을 사기 위해 이 잔인한 형벌이 계속 되었다.은왕조를 살리기 위해 충신들이 죽음을 무릎쓰고 호소했으나 주왕은 그들을 모조리 죽여 젓 담그고 포를 떴으며 심장을 갈기갈기 찟었다. 드디어 주나라의 무왕이 군사를 일으켜 은나라를 멸망시킬 때, 폭군 주왕은 녹대에 들어가 스스로 불을 지르고 죽었다.
■ 포류지질 蒲柳之質
[부들 포/버들 류/어조사 지/바탕 질]
☞갯버들 같은 체질. 몸이 쇠약하여 병이 잘 걸리는 체질
[출전]
『세설신어(世說新語)』
[내용]
동진(東晋)의 진릉에 고열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매우 인품과 신망이 뛰어나 양주자사 은호가 그를 차관으로 삼아 신임하게 되었다. 고열은 은호의 신임에 보답하기 위해 오랫동안을 무리하여 일을 했기 때문에 30세에 이미 백발이 되고 점점 야위어 갔다.
그가 어느 날 왕을 배알하러 갔을 때 왕이 그의 백발을 보자 30세의 같은 나이인데 어찌된 연유로 백발이 되었는지 그 연유를 물었다. 이 말에 고열은 웃으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그것은 폐하께서는 백송이라 서리를 맞아도 곧 푸르게 되지만 저는 갯버들 같은 체질(蒲柳之質)이라 가을이 되면 금방 잎이 떨어져 버리기 때문입니다."
■ 포식난의 飽食暖衣
[배부를 포/먹을 식/따뜻할 난/옷 의]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는다. 의식(衣食)이 넉넉하게 지냄.
[준]포난[飽暖] [출전]《맹자(孟子)》등문공편
[내용]맹자가 60세가 지나 등나라의 문공(文公)에게 초대되어 갔을 때, 주(周)나라처럼 정전법(井田法)을 실시하여 등나라를 이상적인 사회로 만들도록 설득하였다.이때 묵자(墨子)의 영향을 받은 중농주의자인 허행(許行)이 송(宋)나라로부터 등나라에 와서, 문공으로부터 살 집과 전토(田土)를 받고 자기가 짠 거친 옷을 입고 자기가 경작하여 지은 양식을 먹고 사는 주의를 실천하고 있었다.
유교의 생활방식을 버리고 허행과 같은 생활을 시작한 진상(陳相)이라는 사람이 맹자에게, “등나라 임금도 백성들과 마찬가지로 손수 농사를 지어서 먹어야 하지 않느냐”고 하였다. 맹자는 허행이 사용하는 농기구와 질그릇이 자기가 지은 농산물과 물물교환한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다음, ‘인간의 생활이란 분업을 하는 것이지 원시적 자급자족이란 불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고, ‘허행도 농기구나 그릇 등을 물물교환하여 쓰고 있지 않느냐.’고 깨우쳐 주면서, 우(禹)임금 같은 분은 8년 동안 아홉 개의 큰 강을 막아 다스리느라고 세 차례나 자기의 집 문앞을 지나면서도 못 들어갔다'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그리하여 후직(后稷:舜임금 때 농사 일을 관장하던 관직)을 시켜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일을 가르치게 하였다. 이리하여 오곡이 익어 백성들이 잘 살게 되었다. “사람에게 도(道)가 있으니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고 편안하게 살지라도 가르침이 없으면 금수에 가까워지게 된다[人之有道也 飽食煖衣逸居 而無敎 則近於禽獸(인지유도야 포식난의일거 이무교 즉근어금수)]. 성인이 이것을 근심하여 설(契)로 하여금 사도(司徒)로 삼아 인륜으로써 가르치게 하니[聖人有憂之 使契爲司徒 敎以人倫(성인유우지 사설위사도 교이인륜)], 부자 사이에는 친함이 있고, 군신 사이에는 의가 있고, 부부 사이에는 구별이 있고, 연장자와 연소자 사이에는 차례가 있고,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다(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 여기서 ‘난의포식’이 유래되었으며, ‘포식난의’라고도 한다. <네이버백과>
■ 포신구화 抱薪求禍
[안을 포/섶 신/구할 구/재앙 화]
☞불을 끄러 섶을 안고 불 속으로 들어간다.
**해를 제거하려다 오히려 더 크게 하거나 助長함,해를 제거하려다 자멸함
[출전]
『사기(史記)』 위세가(魏世家)편
[내용]
중국 전국시대 말기의 일이다. 국력이 나날이 강대해진 진(秦)나라는 범저(范雎)가 주창한 원교근공(遠交近攻) 정책을 펴 가까운 나라를 끊임없이 침략해 영토를 확장해 갔다. 이 정책으로 인해 위(魏)나라도 진나라로부터 연거푸 침공당해 영토를 점령당했다. 이처럼 진나라의 영토 침공이 계속되자, 위나라 백성들은 진나라를 두려워해 저항조차 하지 않았다. 이때 위나라 장수 단간자(段干子)가 난양[南陽]을 할양하고 강화를 맺을 것을 왕에게 건의했다. 그러자 전술가 소대(蘇代)가 왕에게 충고하기를 "단간자의 본심은 왕위를 빼앗는 것이고, 진나라의 목적은 위나라를 병합하는 것이므로 화의를 맺어도 침공은 그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진나라에 땅을 할양하는 것은 '땔나무를 안고 불을 끄려는 것[抱薪救火]'과 같아, 땔나무가 없어지지 않는 한 불은 꺼지지 않듯이, 땅을 할양하는 것도 이와 마찬가지입니다"라고 했다. 그러나 위나라 왕은 소대의 충고를 받아들이지 않고, 난양지구를 진나라에 할양하고 화의를 제의하기로 했다.
그러나 진나라는 소대의 말처럼 화의를 맺고도 침공을 그치지 않고 계속해서 위나라 땅을 빼앗았다. 위나라 왕이 죽고 그 아들이 왕위에 오르자, 진나라는 위나라를 공격하여 성을 20개나 빼앗아 진나라의 동군(東郡)이라 했다. 위나라는 마침내 저항할 힘을 잃고 BC 255년 진나라에 멸망당했다. '포신구화'는 '섶을 지고 불을 끈다'는 뜻의 '부신구화(負薪救火)' 와 같은 말이다. 또 '불을 끄는데 섶을 던져 넣는다'는 뜻의 '구화투신(救火投薪)'도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참고]
섶--섶나무의 준말,잎나무,물거리(땔나무),풋나무 등의 총칭
■ 포정해우 捕丁解牛
[잡을 포/고무래 정/풀 해/소 우]
☞포정이 소를 잡는다. 기술이 매우 뛰어남(포정은 고대에 요리를 잘하던 사람의 이름 이고, 해우는 소를 잡아 살코기와 뼈를 구분하는 것)
[출전]
『장자(莊子)』 양생주 편
[내용]
포정이 문혜군을 위해 소를 잡은 일이 있다. 소에 손을 대고 어깨를 기울이고, 발로 짓누르고, 무릎을 구부려 칼을 움직이는 동작이 모두 음률에 맞았다. 문혜군은 그것을 보고 감탄하며 말했다. "아, 훌륭하구나. 기술이 어찌하면 이런 경지에 이를 수가 있느냐?"
포정은 칼을 놓고 말했다. "제가 반기는 것은 도(道) 입니다. 손끝의 재주 따위보다야 우월합니다. 제가 소를 잡을 때는 소만 보여 손을 댈 수 없었으나, 3년이 지나자 이미 소의 온 모습은 눈에 안 띄게 되었습니다. 요즘 저는 정신으로 소를 대하고 있고 눈으로 보지는 않습니다. 눈의 작용이 멎으니 정신의 자연스런 작용만 남습니다.
천리를 따라 소가죽과 고기, 살과 뼈 사이의 커다란 틈새와 빈 곳에 칼을 놀리고 움직여 소 몸이 생긴 그대로 따라갑니다. 그 기술의 미묘함은 아직 한 번도 칼질을 실수하여 살이나 뼈를 다친 일이 없습니다. 하물며 큰 뼈야 더 말할 게 있겠습니까? 솜씨 좋은 소잡이가 1년 만에 칼을 바꾸는 것은 살을 가르기 때문입니다. 평범한 보통 소잡이는 달마다 칼을 바꾸는데, 이는 무리하게 뼈를 가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제 칼은 19년이나 되어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았지만, 칼날은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저 뼈마디에는 틈새가 있고 칼날에는 두께가 없습니다. 두께 없는 것을 틈새에 넣으니, 널찍하여 칼날을 움직이는 데도 여유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19년이 되었어도 칼날이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근육과 뼈가 엉긴 곳에 이를 때마다 저는 그 일의 어려움을 알아채고 두려워하며 경계하며 천천히 손을 움직여서 칼의 움직임을 아주 미묘하게 합니다. 살이 뼈에서 털썩하고 떨어지는 소리가 마치 흙덩이가 땅에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칼을 든 채 일어나서 둘레를 살펴보며 머뭇거리다가 흐뭇해져 칼을 씻어 챙겨 넣습니다."
이에 문혜군은 말했다. "훌륭하구나. 나는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의 도를 터득했다."
■ 포호빙하 暴虎憑河
[사나울 포/범 호/탈 빙/강 하]
☞맨손으로 범에게 덤비고 걸어서 황하를 건넌다는 뜻.곧 무모한 행동.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무모한 용기의 비유.
[동] 포호빙하지용(暴虎馮河之勇)
[출전]『論語』 〈述而篇〉
[원문]子謂顔淵曰 用之則行 舍之則藏 惟我與爾有是夫 子路曰 子行三軍則誰與子曰 暴虎馮河 死而無悔者 吾不與也 必也臨事而懼 好謀而成者也
[내용]공자의 3000여 제자 중 특히 안회(顔回)는 학재(學才)가 뛰어나고 덕행이 높아 공자가 가장 아끼던 제자라고 한다. 그는 가난하고 불우했지만 이를지 않았으며 또한 32세의 젊은 나이로 죽을 때까지 노하거나 실수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고 한다. 이 안회에게 어느 날,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왕후(王侯)에게 등용되면 포부를 펴고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이를 가슴 깊이 간직해 두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지. 하지만 그렇게 할 수 있는 이는 나와 너 두 사람 정도일 것이다."
이 때 곁에서 듣고 있던 자로(子路)가 은근히 샘이 나서 공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선생님, 도를 행하는 것은 그렇다 치고 만약 대군을 이끌고 전쟁에 임할 때 선생님은 누구와 함께 가시겠습니까?" 무용(武勇)에 관한 한 자신 있는 자로는 '그야 물론 너지'라는 말이 떨어지기를 기대했으나 공자는 굳은 얼굴로 이렇게 대답했다."맨손으로 범에게 덤비거나 황하를 걸어서 건너는 것[暴虎馮河]과 같은 헛된 죽음을 후회하지 않을 자와는, 나는 행동을 같이하지 않을 것이다."
■ 표리부동 表裏不同
[겉 표/속 리/같을 동]
☞마음이 음흉하고 불량하여 겉과 속이 다름.
[유]경이원지(敬而遠之)
/면종복배(面從腹背)/勸上搖木권상요목: 나무 위에 오르라고 권하고는 오르자마자 아래서 흔들어 댐 /口蜜腹劍구밀복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