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浪吟(랑음)

제멋대로 읊는다

 

     口耳聾啞久(구이농아구)

     입은 말하지 않고

     귀는 듣지 않은 지 오래지만

 

     猶餘兩眼存(유여양안존)

     그래도 두 눈은 남아

     또랑또랑 뜨고 있다.

 

     紛紛世上事(분분세상사)

     어지럽고    시끄러운

     세상만사

 

     能見不能言(능견불능언)

     볼 수는 있어도

     말할 수는 없구나.

 

조선 전기의 선비 삼가(三可) 박수량(朴遂良· 1475~1546)이 지었다. 그는 혼란한 연산군과 중종 시대에 지조를 지켜 고향 강릉에 물러나 살았다. 광기의 세상에도 권력과 부를 향해 정신줄 놓고 달려드는 사람들 많다. 세상이 미쳐 날뛸 때 그들과 함께 미친 척하고 나서야 한 자리라도 할 수 있을 텐데 그는 오히려 입도 귀도 닫아버렸다. 귀로 듣고 정직하게 말로 내뱉었다가는 자칫 큰코다칠 수 있어서다. 그렇다고 세상 몰라라 할 수 있을까? 눈을 벌겋게 뜨고 지켜보며 견뎌야 한다. 그는 광기와 폭압의 시대를 견디는 정신을 밝혀서 "내가 배움도 없으면서 진사에 급제했으니 욕됨이 없어 좋고, 땅도 없으면서 날마다 두 끼를 먹으니 굶주림이 없어 좋고, 덕망도 없으면서 산수에 머무니 속됨이 없어 좋다"라고 했다. 세 가지가 좋다는 '삼가'란 호는 그런 뜻에서 나왔다.//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조선일보

'시 두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동 측백수림  (0) 2016.07.30
가위질  (0) 2016.07.29
가을 일기  (0) 2016.07.27
점등  (0) 2016.07.26
가을 노래  (0) 2016.07.24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