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한말 시인이자 역사가 매천(梅泉) 황현(黃玹·1855~1910)이 43세 되던 해에 지었다. 시골에 묻혀 농사를 지으며 사는 서생 겸 농부 매천 선생! 단오 무렵 날이 좋아 동네 친구들과 어울리니 시가 절로 나오고 속마저 터놓게 된다. 이제 40을 넘긴 나이라, 세상에 나가 보란 듯 성공하겠다던 허황한 옛 꿈일랑 버려야겠다. 되도 않은 꿈에 매달리느니 생계나 잘 꾸려가야지. 푸성귀에 막걸리 마시고, 삽 들고 흙 묻은 옷이나 입는다. 바람 불면 옷을 벗고 비 뿌리면 얼굴에 맞는다. 천생 농사꾼 처지다. 단오라고 쑥개떡 해먹으려는지 온 마을 사람들 쑥을 뜯어 돌아온다. 왠지 모르게 어설픈 그 풍경은 마음 한편에 아직도 남아 있는 헛된 꿈 탓일까?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조선일보
많은 이가 아쉬운 삶을 살아갑니다. 한을 품고 살아갑니다.
뉘라서 남의 삶을 저울 질 할 수 있겠습니까. 만, 이들에게도 거친 숨결이 감미로운 향기로, 눈가에 어린 물기가 세상을 굴절시켰던, 한 때가 있었을 것입니다.
삶의 진수인 고통이야말로 본연의 내 모습이니 참아 안고 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