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는 마음 버려진 곳 흙담 쌓고 아궁이도 손보고 동으로 창을 내서 아침 햇빛 오게 하고 우리도 그 빛 사이를 새눈 뜨고 섰나니 해여 해여 머슴 갔다 겨우 풀려 오는 해여 5만 원쯤 새경 받아 손에 들고 오는 해여 우리들 차마 못 본 곳 그대 살펴 일르소. /서정주(1915~2000)
미당 서정주의 시조 한 편이 각별한 즈음이다. 창간 축시 청에 "박재삼을 시조로 추천했고 송강이나 고산, 이 나라의 시조를 내 모를 리가 있나. 자 내 솜씨 한번 보게!"하고 써냈다는 일화도 환기하는 바가 크다. 한국의 시인이라면 시조는 당연히 쓸 줄 알아야지 하는 듯하지 않은가. 그런 때문인지'문둥이'는 자유시이건만 빼어난 시조로도 종종 회자된다. 우리의 말이며 율(律)을 누구보다 능청스럽게 잘 부린 미당. '비는 마음'도 '새눈 뜨고'선 길을 비는 천연스럽고 기꺼운 추임새다. 그런데 '머슴 갔다 겨우 풀려 오는 해', 그것도 '5만 원쯤 새경 받아 손에 들고 오는 해'라니! 나라며 시조 의 해방과 미래를 일깨우는 기막힌 구절 앞에 '차마 못 본 곳 살펴'이를 길이 새삼 지엄하게 다가온다. 대보름달 아래 피어날 비손들의 안팎도 그러할까. /정수자:시조시인/조선일보 |
'시 두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獨行(독행) 홀로 길을 가다 (0) | 2014.02.15 |
---|---|
모닥불 (0) | 2014.02.14 |
웃는 당신 (0) | 2014.02.12 |
漫興 (만흥) 흥이 나서 (0) | 2014.02.11 |
삶 (0) | 2014.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