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마;
1763년(영조 39년) 일본에 가던 조선통신사 조엄은 대마도(쓰시마섬)에서 재배 중이던 고구마를 발견하고는 제주도를 비롯한 섬에서 구황작물(救荒作物;흉년이 들 때 재배하기 적당한 작물-피, 메밀, 감자 따위.)로 재배하면 좋겠다고 생각해 종자를 파발(擺撥)선에 실어 부산진 첨사에게 보냈다. 이듬해 돌아오는 길에 또 고구마를 들여와서 동래부사 강필리에게 전했다. 그와 동생 강필교는 고구마 재배에 성공해 종자와 재배법을 퍼뜨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일본에서는 ‘사쓰마이모(さつまいも [薩摩芋·甘藷])’라 불리는 고구마를 당시 대마도에서는 ‘부모에게 효도하게 해주는 감자’(효행우, 孝行芋)라 했다. 일본어 발음은 ‘고코이모’다. 조엄은 이를 ‘고귀위마’(古貴爲麻)라고 발음한다고 ‘해사일기’에 써서 알렸다.
벽창호;
국경을 넘어가면서 발음이 달라지는 건 귀화어의 운명이다. 그런데, 한 나라 안에서도 말의 와전이 드물지 않게 일어난다. 평안북도 ‘벽’동군과 ‘창’성군의 소는 크고 억세서, ‘벽창우’라 하면 우둔하고 고집 센 사람을 가리켰다. (...)지금은 다들 벽창호라 한다. 벽에 창틀을 내고는 다시 꽉 막아버린 벽창호도 ‘앞뒤 꽉 막힌’ 사람을 가리키기에 안성맞춤이니, 이런 와전은 진화라 할 만도 하다.
억지춘향;
경북 봉화군 춘양면의 적송은 곧게 자라고, 껍질이 얇고, 결이 곱고 부드러워 목수들이 한옥을 짓는 데 최고의 목재로 쳤다. 같은 소나무라도 ‘춘양목’은 명품값을 했다. 다른 지역 소나무를 춘양목이라고 속여 파는 것에서 ‘억지 춘향’이란 말이 나왔다. (...)
윤똑똑:
‘윤똑똑이’라는 말이 있다. 자기만 혼자 잘나고 영악한 체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다. 여기에서 ‘윤’은 음력의 오(日)차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 윤달의 윤(閏)이다. 가짜라는 뜻이다. 정통이 아닌 임금을 나타내는 말이기도 하다. (...)/외통
정남구 논설위원 jeje@hani.co.kr
힌겨례 사설.칼럼
‘윤똑똑이’란 무엇인가 [유레카]
기자 정남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