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선담후농(先淡後濃)

명나라 당지계(唐志契)'회사미언(繪事微言)''적묵(積墨)' 조에서 먹 쓰는 법을 이렇게 설명했다.

"화가는 먹물을 포갤 줄 알아야 한다. 먹물을 진하게도 묽게도 쓴다. 어떤 경우는 처음엔 묽게 쓰고 뒤로 가면서 진하게 한다(先淡後濃). 어떤 때는 먼저 진하게 쓰고 나서 나중에 묽게 쓴다. 비단이나 종이 또는 부채에 그림을 그릴 때 먹색은 옅은 것에서 진한 것으로 들어가야 한다[由淺入濃]. 두세 차례 붓을 써서 먹물을 쌓아 나무와 바위를 그려야 좋은 그림이 된다. 단번에 완성한 것은 마르고 팍팍하고 얕고 엷다. 송나라와 원나라 사람의 화법은 모두 먹물을 쌓아서 그렸다. 지금 송·원대의 그림을 보면 착색을 오히려 7~8번씩 해서 깊고 얕음이 화폭 위로 드러난다.

지금 사람은 붓을 떨궈 그 자리에서 나무와 바위를 완성하려고 혹 마른 먹으로 그린 뒤 단지 한 차례 엷은 먹으로 칠하고 만다. 심한 경우 먹물을 포개야 할 곳에도 그저 마른 붓으로 문지르고 마니 참 우습다."

선담후농, 유천입농! 그림은 여러 차례 붓질로 농담(濃淡)이 쌓여야 깊이가 생긴다. 일필휘지로 그린 그림에는 그늘이 없다. 사람의 교유도 다르지 않다. '필주(筆疇)'에서는 이 말을 벗 사귀는 도리로 설명했다.

"처음엔 담백하다가 나중에 진해지고, 처음엔 데면데면하다가 뒤에 친해지며, 먼저는 조금 거리를 두다가 후에 가까워지는 것이 벗을 사귀는 방법이다. 세상 사람들은 눈앞만 기뻐하여 뒷날에 대해서는 염려하지 않는다. 한 마디에 기분 맞으면 어린 양을 삶고 훌륭한 술을 차려 처자를 나오게 해서 간담을 내어줄 듯이 한다. 그러다가 한 마디만 마음에 맞지 않거나 한 차례 이익을 고르게 나누지 않고, 또 한 번의 이자만 주지 않아도 성내는 마음이 생겨나, 각자 서로 미워한다.

군자의 사귐은 담담하기가 물과 같고, 소인의 사귐은 농밀하기가 단술과 같다. 물은 비록 담백하나 오래되어도 그 맛이 길게 가고, 단술은 비록 진해도 오래되면 원망이 일어난다."

소뿔도 단김에 빼야 직성이 풀리고, 뭐든 화끈한 것만 좋아한다. 차곡차곡 쌓아 켜를 앉힌 것이라야 깊이가 생겨 오래간다. 그림도 그렇고 사람도 그렇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세십당(處世十當)  (0) 2019.01.31
약교지도(約交之道)  (0) 2019.01.24
초화계흔(招禍啓釁)  (0) 2019.01.10
좌명팔조(座銘八條)  (0) 2019.01.03
작관십의(作官十宜)  (0) 2018.12.27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