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열복(熱福)과 청복(淸福)

다산 정약용은 사람이 누리는 복을 열복(熱福)과 청복(淸福) 둘로 나눴다. 열복은 누구나 원하는 그야말로 화끈한 복이다. 높은 지위에 올라 부귀를 누리며 떵떵거리고 사는 것이 열복이다. 모두가 그 앞에 허리를 굽히고, 눈짓 하나에 다들 알아서 긴다. 청복은 욕심 없이 맑고 소박하게 한세상을 건너가는 것이다. 가진 것이야 넉넉지 않아도 만족할 줄 아니 부족함이 없다.

 

조선 중기 송익필(宋翼弼)은 '족부족(足不足)'이란 시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군자는 어찌하여 늘 스스로 만족하고, 소인은 어이하여 언제나 부족한가. 부족해도 만족하면 남음이 늘상 있고, 족한데도 부족타 하면 언제나 부족하네. 넉넉함을 즐긴다면 부족함이 없겠지만, 부족함을 근심하면 언제나 만족할까? (중략) 부족함과 만족함이 모두 내게 달렸으니, 외물(外物)이 어이 족함과 부족함이 되겠는가. 내 나이 일흔에 궁곡(窮谷)에 누웠자니, 남들이야 부족타 해도 나는야 족하도다. 아침에 만봉(萬峰)에서 흰 구름 피어남 보노라면, 절로 갔다 절로 오는 높은 운치가 족하고, 저녁에 푸른 바다 밝은 달 토함 보면, 가없는 금물결에 안계(眼界)가 족하도다." 구절마다 '족(足)' 자로 운자를 단 장시의 일부분이다. 청복을 누리는 지족(知足)의 삶을 예찬했다.

 

다산은 여러 글에서 되풀이해 말했다. "세상에 열복을 얻은 사람은 아주 많지만 청복을 누리는 사람은 몇 되지 않는다. 하늘이 참으로 청복을 아끼는 것을 알겠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청복은 거들떠보지 않고, 열복만 누리겠다고 아우성을 친다. 남들 위에 군림해서 더 잘 먹고 더 많이 갖고, 그것으로도 모자라 아예 다 가지려고 한다. 열복은 항상 중간에 좌절하거나 끝이 안 좋은 것이 문제다. 요행히 자신이 열복을 누려도 자식 대까지 가는 경우란 흔치가 않다.

 

모든 사람이 우러르고, 아름다운 미녀가 추파를 던진다. 마음대로 못 할 일이 없고, 뜻대로 안 될 일이 없다. 어느새 마음이 둥둥 떠서 안하무인(眼下無人)이 된다. 후끈 달아오른 욕망은 제 발등을 찍기 전에는 식을 줄을 모른다. 잠깐만에 형편이 뒤바뀌어 경멸과 질시와 손가락질만 남는다. 그때 가서도 자신을 겸허히 돌아보기는커녕, 주먹을 부르쥐고 두고 보자고 가만두지 않겠다고 이를 갈기만 하니, 끝내 청복을 누려볼 희망이 없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만(我慢)의 반성  (0) 2015.01.09
용서성학 (傭書成學)  (0) 2015.01.08
말의 행간  (0) 2015.01.06
사숙록(私淑錄)  (0) 2015.01.05
관물론(觀物論)  (0) 2015.01.04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