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중독 남의 일이라고? / 인터넷 중독과 진단
“한국청소년 75만명이 게임중독이다 .그러나 한국은 게임산업을 위하여 게임 중독에 대하여서는 무관심하다” (독일 슈피겔지 2006.2.6)
인터넷 중독(Internet Addiction)이란 "정보이용자가 지나치게 컴퓨터에 접속하여 일상생활에 심각한 사회적, 정신적, 육체적 및 금전적「지장」을 받고 있는 상태"라고 정의된다. 즉, 지나친 인터넷 접속으로 인하여 의존성과 금단 증상 등이 나타나 일상생활에 사회적, 정신적, 육체적 및 금전적 지장을 받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1980년대 이후 컴퓨터가 보급되면서 컴퓨터 중독이라는 용어가 새로이 등장하게 되었고, 1990년대를 넘어서자 인터넷의 사용이 널리 퍼져갔고 1996년에 들어서면서 인터넷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 중독이 나타나게 되었다. 인터넷 중독은 사이버 중독, 인터넷 중독 질환(IAD: Internet Addiction Disorder), 병적 인터넷 사용(PIU: Pathological Internet Use)이라고 불리며, 인터넷 증후군 (Internet Syndrom), 웨버홀리즘(Webaholism)이라 불리기 도 한다.
인터넷 중독 질환(IAD)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 람은 1996년 정신과 의사인 이반 골드버그(Ivan K. Goldberg M.D)이다. 인터넷 중독은 미국 피츠버그대학의 킴벌리 영(Kimberly S. Young) 박사 등에 의해 체계화되었는데, 킴벌리 영은 인터 넷 중독 자가진단을 고안하기도 했다.
인터넷 중독은 통신중독, 게임중독, 음란물중독 등으로 분류되기도한다. 이런 인터넷 중독은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의 혼동, 언어파괴, 폭력성 및 성충동유발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인터넷 중독은 현재 정신과 진단체계내의 한 장애로서 정식으로 인정받고 있지는 못한 상태이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독립적인 장애로 보는 것을 반대하고 다른 질환, 즉 충동조절장애, 강박장애, 우울증의 한 증상으 로 보기도 한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인터넷 인구가 늘어나면서 인터넷 중독이 사회문제화 되자 한국정보화 진흥(www.nia.or.kr) 과 인터넷 중독예방 상담 센터(www.iapc.or.kr )를 열어 한국형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K-척도) 및 게임중독 진단척도 (G-척도)를 개발 보급에 나섰다
이반 골드버그(Ivan Goldberg) 의 인터넷 중독 진단기준
동일한 12개월 기간 동안에 다음의 항목 중 적어도 3가지 이상을 만족시키는 비 순응적인 행동유형을 보여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장 애나 고통을 유발하는 경우 인터넷 중독을 의심할 수 있다.
1) 내성
• 인터넷을 사용하면 할수록 만족을 얻게 되는 시간이 점차 늘어나는 경우.
• 인터넷을 이전과 동일한 시간만큼 하는데도 불구하고 효과가 저하되는 경우.
2) 금단
• 특징적 금단 징후
① 장기간의 인터넷 사용을 중지 혹은 감소한 경우.
② ①의 발생 후 수일에서 한 달 사이에 다음 중 두 항목 이상이 발생했을 때
- 정신운동성 초조
- 불안
- (인터넷 사용에 대한 생각과 관련된) 강박적 사고
-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환상 혹은 꿈
-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으로 자판 두드리는 행위와 유사한 행동
③ ②의 일들로 인해 사회적 혹은 직업적 그 밖의 중요한 부분에서 고통이나 지장을 유발할 때
•금단 증상을 완화, 회피하기 위해 인터넷이나 이와 유사 한 통신망을 사용하는 행동을 할 경우.
3) 생각했던 것보다 더 자주, 길게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4) 인터넷 사용을 줄이거나 조절하려는 욕구가 지속적으로 있었거나 혹은 그 시도에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
5) 상당량의 시간을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행동에 소비하 는 경우.
6) 중요한 사회, 직업, 혹은 여가 활동이 인터넷 사용을 위 해 포기되거나 감소한 경우.
7) 인터넷 사용에 의해 유발되거나 악화되고,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인 신체적, 사회적, 직업적, 심리적 문제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사용을 계속하는 경우.
킴벌리 영(Kimberly S. Young)교수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자가 문진표
1) 항상 인터넷에 대해 생각한다. 예/아니오
2)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을 접속해야 한 다. 예/아니오
3)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 계속 노력하지만 실패한 다.예/아니오
4)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으면 불안하거나 우울하다. 예/아니오
5) 인터넷 사용 시간을 늘려야 만족스럽거나 계획을 추진 할 수 있다. 예/아니오
6) 중요한 인간관계나 직업, 교육, 경력 상의 기회가 위협 받는다. 예/아니오
7) 인터넷에 빠져 있다는 것을 숨긴 적이 있 다. 예/아니오
8) 문제로부터 도피하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한 적이 있 다. 예/아니오
* 5개 이상 ‘예’를 선택하면 인터넷 중독일 가능성이 높습 니다.
* 이 진단기준은 미국 피츠버그 대학의 심리학자 킴벌리영 박사가 병적도박의 진단기준을 변용해 만든 진단기준으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진단기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