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곯아 먹이를 기다리는 새끼 새들이 있다. 밖에서 먹이를 물어 오는 어미 새가 있다. 어미 새는 길고 뾰족한 부리로 먹이를 연신 물어 온다. 물어 와서는 입을 한껏 벌리고 목청껏 우는 새끼들에게 먹이를 먹인다. 한 번에 한 마리씩 정성스럽게,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새끼 새들에게 먹이를 넣어줄 때는 전심(全心)을 바쳐서 오직 이 일만을 한다. 시인은 이 뭉클한 감동의 순간을 목격하면서 자신의 생을 돌아본다. 이처럼 간절하게 순정으로 생(生)을 사랑하며 살고 있느냐고 질문하면서.
이 시는 새끼들의 주린 배를 채워주는 어미 새의 조건 없는 사랑을 생각하게 한다. 밥 먹이는 일의 숭고(崇高)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어미에게는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이 없다. 하나하나가 귀하고 높고 뜨거운 생명이다. 그래서 진지하고 진실한 이 어미의 마음은 잘 보호되어야 한다. //문태준;시인 /조선일보
많은 이가 아쉬운 삶을 살아갑니다. 한을 품고 살아갑니다.
뉘라서 남의 삶을 저울 질 할 수 있겠습니까. 만, 이들에게도 거친 숨결이 감미로운 향기로, 눈가에 어린 물기가 세상을 굴절시켰던, 한 때가 있었을 것입니다.
삶의 진수인 고통이야말로 본연의 내 모습이니 참아 안고 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