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한말 시인 이건창(李建昌·1852~1898)이 스무 살 때 지었다. 고향 강화도를 떠나 서울에 와서 공부도 하고 과거도 보고 벼슬도 시작했다. 수재로 소문났으나 십 년째 더부살이 생활을 면치 못했다. 용산 강가에 별장을 빌려 살기로 하고 늦가을 이사를 했다. 주인집 눈치를 보지 않고 살게 된 것이 무엇보다 기쁘다. 한강의 풍광은 정말 마음에 든다. 강을 바라보면 공부해서 집안을 일으켜야 한다는 중압감도 가벼워진다. 집 주변과 강으로 난 길을 손보았다. 앞으로 멋진 생활이 펼쳐질 것 같아 기대에 부푼다. 아무리 좋다고 해도 고향집만은 못하겠지만 말이다. 백 년 전 스무 살 젊은이가 서울 셋집 사는 풍경이다. /안대회;성균관대 교수·한문학/조선일보
많은 이가 아쉬운 삶을 살아갑니다. 한을 품고 살아갑니다.
뉘라서 남의 삶을 저울 질 할 수 있겠습니까. 만, 이들에게도 거친 숨결이 감미로운 향기로, 눈가에 어린 물기가 세상을 굴절시켰던, 한 때가 있었을 것입니다.
삶의 진수인 고통이야말로 본연의 내 모습이니 참아 안고 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