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臨溪驛(임계역) 임계역에서

得句偶書窓(득구우서창)      시상이 떠올라 우연히 창문에 썼더니
紙破詩亦破(지파시역파)     종이가 찢어지며 시도 따라 찢어지네.
好詩人必傳(호시인필전)        좋은 시라면 사람들이 꼭 전할 테고
惡詩人必唾(악시인필타)       나쁜 시라면 사람들이 꼭 침 뱉으리.
人傳破何傷(인전파하상)   시를 전한다면 찢어진들 무슨 상관이고
人唾破亦可(인타파역가)         침을 뱉는다면 찢어져도 괜찮겠지.
一笑騎馬歸(일소기마귀)           한바탕 웃고서 말 타고 떠나노니
千載誰知我(천재수지아)  천년 세월 흐른 뒤에 그 누가 나를 알랴.

 

   조선 전기 문신 어세겸(魚世謙· 1430∼1500)이 정선에서 강릉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임계역에 하룻밤 묵었다. 창문의 흰 창호지를 보고 시상이 떠올라서 붓을 휘둘러 썼다. 우연히 쓴 이 낙서 같은 시는 수많은 나그네가 오고 가는 여관 창문 위에서 얼마나 버틸까? 손을 많이 타는 종이가 찢어지면 좋든 나쁘든 시는 사라지리라. 다만 시가 좋으면 사람들이 입으로 전하고, 시가 나쁘면 존재조차 잊힐 것이다. 시는 독자의 마음속에 남아 있는 것이지 종이 위에 남아 있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시인은 어떻고, 우리 많은 사람은 어떨까? 뒤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에 따뜻한 흔적으로 남지 않는다면 그 어떤 든든한 기록도 자취도 허망한 일이다. /안대회;성균관대 교수·한문학 /조선일보

'시 두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가위 날이 온다  (0) 2014.09.06
달빛 기도  (0) 2014.09.05
사과꽃 핀 자리  (0) 2014.09.03
여름의 끝  (0) 2014.09.02
가슴밭에  (0) 2014.09.01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