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자화자찬(自畵自讚)

강세황(姜世晃·1713~1791)은  여러 폭의 자화상을 직접 그렸다.  그 가운데 걸작으로 꼽는 것이 70세 때인 1782년에 직접 그린 것이다. 그런데 그 차림이 묘하다. 머리에는 관리가 쓰는 관모를 썼고, 몸에는 관복이 아닌 야인의 도포 차림이다. 초상화 상단에는 직접 짓고 쓴 찬(讚)이 적혀 있다.

 

그 내용은 이렇다.  "저 사람은 누구일까?   눈썹 수염 하얗구나.  오사모(烏紗帽)를 쓰고서 야복(野服)을 걸쳤다네. 산림(山林)에 마음 두고, 조정에 이름 둠을 이를 보고 알 수 있지. 가슴속엔 기이한 책 간직해두고, 붓으로는 오악을 뒤흔드누나. 남들이야 어이 알리, 나 혼자서 즐길 뿐. 옹의 나이 칠십이요, 옹의 호는 노죽(露竹)이다. 그 초상은 직접 그리고, 찬도 직접 지었다네."

 

말 그대로 자화자찬(自畵自讚)에 해당한다.  찬은 그 대상을  기려 칭송한 글이다.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내용이 없고 칭찬의 뜻만 있다. 자기가 자기 얼굴을 그려놓고 제 입으로 또 칭송하는 글을 썼다. 그런데 그 자부의 핵심을 관모를 쓰고 야복을 걸친 모습에 두었다. 그는 66세 나던 1778년에 문신 정시(廷試)에서 장원으로 뽑혀 종2품 가의대부에 올랐고, 1781년에 호조참판이 되었다.

 

머리에 쓴 관모는  현재 자신이 벼슬길에 몸담고   있음을 나타내주는 최소한의 징표다. 하지만 관복 대신 야복을 입힘으로써 정신의 추구만은 산림에 있음을 드러내 보였다. 내 비록 관부에 적(籍)을 걸어두고 있지만, 언제나 산림 선비의 청정한 정신으로 산다. 이것이 강세황이 이 자화상에서 가장 드러내고 싶었던 지점이다. 이는 71세 때 화가 이명기(李命基)가 그린 것으로 알려진 그의 공식적인 초상화가 관복과 관모를 입은 모습을 한 것과 견줘봐도 분명하다.

 

얼마 전 취임 3주년을 맞은  대통령이 비서관들을 모아놓고  "우리가 세운 업적을 너무 자랑하지 말라"고 했대서 화제였다. 맥락이 있어 나온 언급이겠지만 구제역이다 뭐다 해서 나라가 온통 뒤숭숭한 판에 나온 이 말의 방점이 '너무 자랑 말자'의 겸손에 있는지, '우리가 세운 업적'에 대한 자찬에 있는지 많이들 헷갈렸던 듯하다. 예전에 자화자찬은 지금처럼 단순히 제 자랑의 의미로만 쓰는 말이 아니었다. 스스로에 대한 자부와 긍지를 담았다. 살아있는 정신의 표정이 있었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돌사신(曲突徙薪)  (0) 2015.03.22
남산현표(南山玄豹)  (0) 2015.03.21
다문궐의(多聞闕疑)  (0) 2015.03.19
취로적낭 (就艫摘囊)  (0) 2015.03.18
간군오의(諫君五義)  (0) 2015.03.17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