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 입안의 비린내를 헹궈내고 달이 솟아오르는 창가 그의 옆에 앉는다. 이미 궁기는 감춰두었건만 손을 핥고 연신 등을 부벼대는 이 마음의 비린내를 어쩐다? 나는 처마 끝 달의 찬장을 열고 맑게 씻은 접시 하나 꺼낸다. 오늘 저녁엔 내어줄 게 아무 것도 없구나. 여기 이 희고 둥근 것이나 핥아보렴 /송찬호
한 사나이가 홀로 살고 있다. 화분도 몇 있고 마당엔 푸성귀가 자란다. 더불어 고요한 짐승인 고양이도 한 마리 벗 삼아 기른다. 그 고양이는 애초엔 떠돌이였으나 이 집의 고독이 좋아 얼마 전부터 이 집에 정 붙여 사는 듯하다. 고양이는 경계선의 짐승이라던가? 야생과 집 사이의 동물. 즉, 시인의 심리로 사는 짐승.
고양이는 야행성이므로 이 고양이가 돌아온 이 집은 이제부터 활동을 시작하는 집이다. 육체는 죽고 정신이 또렷해지는 시간. 여기서부터 고양이는 '고양이'가 아니다. 홀로 사는 이의 고독이어도 좋고 고립을 자처하여 독립을 이룬 정신의 표상이라고 해도 좋다.
이 사나이가 기르는 또 한 가지 아름다운 것이 있으니 그것은 달이다. 오늘 고독의 양식은 '희고 둥근' 달이다. 마음은 달을 핥는다. 다섯 개의 달이 반짝인다. 각각의 눈동자 속 달과 하늘의 그것. 고독과 침묵의 낮고 청빈한 대화가 쌉싸름하다. /장석남·시인·한양여대 교수/조선일보
많은 이가 아쉬운 삶을 살아갑니다. 한을 품고 살아갑니다.
뉘라서 남의 삶을 저울 질 할 수 있겠습니까. 만, 이들에게도 거친 숨결이 감미로운 향기로, 눈가에 어린 물기가 세상을 굴절시켰던, 한 때가 있었을 것입니다.
삶의 진수인 고통이야말로 본연의 내 모습이니 참아 안고 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