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60년대 대구모습等
↑ 70년대초 대구…넝마주이 소년 [1970년대초만 해도 대구 지역 곳곳에는 넝마주이나 아침에 밥을 얻어 먹으러 다니는 거지,허잡스러운 물품을 팔러다니는 상이군경 등이 많았다.블록 담장에 지친 몸을 기댄 채 해바라기를 하며 생모를 생각하는듯 어린 넝마주이의 표정이 더없이 서럽기만 하다.]
↑ 60년대 대구 물장수 아저씨 [60년대만 해도 대구의 상수도 보급률은형편 없었다. 변두리 달동네 주민들은 매일 공동우물에 가서 물을 길어오거나 매일 동네를 방문하는 물장수 아저씨한테 물을 사먹어야만 했다.이때는 드럼통이 급수통으로 이용됐다.]
↑ 60년대 개구쟁이들의 신천나들이 [60년대 동구 신천동 푸른다리 근처 징검다리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 한 아이(왼쪽에서 네번 째)가 갓난애기를등에 업고 돌보는 장면이 웃음을 자아낸다.]
↑ 구름과자를 아시나요? [반세기 전만 해도 '국민학교' 앞은 불량 군것질거리의집산지였다. 특히 뜨겁게 달궈진 철통 안에 설탕을 집어넣으면 금세 양철통에서 구름이 피어올랐다. '구름과자'로 인기가 높았던 솜사탕 제조기는 척박한 일상을 살던 아이들에겐 꿈결 같은 것이었다.]
↑ 엄마 제가 이 잡아 드릴께요. [공중위생 시스템이 전무했던 60년대에는이와 벼룩, 빈대가 주민들의 몸 곳곳에 기생했다. 볕이 좋은 날 동구 신천동푸른다리 근처 판잣집 앞에서 어머니의 머리카락을 헤집으면서 이를 잡아주고 있는 딸의 눈매가 더없이 훈훈하기만 하다.]
↑ 동네 개구쟁이들의 놀이터 '준공 직전의 경북도청' [준공 직전 공사 중인 경북 도청 창문 턱에 올라가 손을 잡고 놀고 있는 동네 개구쟁이들. 도청은 옛 중앙공원 자리에서 1966년 4월1일 현재 자리로 이전했다.]
▲ 1951. 4. 20. 대구 근교 훈련소에 신병 입대자들이 입소하고 있다.
▲ 1951. 5. 15. 대구 근교 훈련소에서 신병들의 수료식이 열리고 있다.
▲ 1951. 5. 15. 대구 근교 훈련소, 수료식을 마친 신병들이 부대배치를받고 있다.
▲ 1951. 5. 18. 대구. 훈련소에서 교육을 마친 신병들이 열차를 타고전선으로 가고 있다.
▲ 1951. 5. 20. 지게부대.
▲ 1950. 7. 7. 기마대 행렬.
▲ 1950. 7. 29. 주야간 전투에 지친 국군 병사들이 아무데서나 쓰러져 자고 있다.
▲ 1951. 5. 29. 평화로운 한국의 전형적인 농촌 마을
▲ 1951. 5. 26. 마을의 평화를 깨트리는 전차가 고개를 넘어 마을로 들어오고 있다.
▲ 1951. 9. 11. 피난길에 만난 형과 아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