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이 시는 우리가 알기로는
양사언이 모든 일에 노력하면
안되는 일이 없다는 교훈 조 詩(시)로만 알고 있었는데
깊은 내력을 살펴 보니
처절하게 살다간 어머니를 그리는
시라는 해석이
kbs 역사 이야기에서 밝혀졌다.
"楊士彦(양사언)과 그의 어머니"
우리 선조들로부터 현세에 이르기 까지
위대한 인물들뿐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까지도
대부분 그들 어머니의 恩功
(은공)이 뒤에 숨어 있고,
이러한 모성애의 恩功(은공)으로
훌륭한 인물은 더욱 훌륭한 인물로 재 탄생 되어질 수 있었다.
우리들도 익히 알고 있는 栗谷(율곡)과 신사임당
만호 한석봉과 그의 어머니 이야기는
너무나 유명해 모르는 분들이 없을 것이다.
아들을 훌륭하게 키운 대표적 한민족의 어머니이리라.
그러나 "양사언과 그의 어머니"에 대하여
아는 사람들은 흔하지 않다.
양사언의 아버지 '양 민'이
전라도 영광의 사또로 부임해
내려가는
꽃 피는 삼월의 어느날,
어느 촌 고을을 지날 즈음,
전날 부임 축하연으로 술에 쩔어
밥을 먹지 못해 배가 무척
고파서 밥을 먹고 가기로 했단다.
그러나 농번기에 사람들이 없었다. 이 집 저 집 둘러 보는
중에 어느 한 집에서
한 소녀가 공손하게 나와 식사 대접을
하겠노라고 아뢴다.
그리고는 신관 사또가 거리에서 식사를 할 수 있겠냐고 하며
안으로 모시고 부지런히 진지를 지어 올린다.
하는 태도나 말솜씨가 어찌나 어른스러우며
예의 바른지 사또는 너무나 기특하게 여긴다.
조반을 잘 얻어 먹은 젊은 신관 사또 '양 민'은
고마움에 보답을
하게 되는데...
신관 사또 '양 민'은 소매에서
부채 靑扇(청성)과 紅扇(홍선) 두 자루를 꺼내 소녀에게 준다.
그냥 전달하기는 멋쩍어 농담을 섞어
"이는 고마움으로 내가
너에게 채단 대신 주는 것이니
어서 받으라..."
`채단'이라 함은 결혼 전에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보내는
청색 홍색의 옷감들이 아닌가...
깜짝 놀란 소녀는 안방으로 뛰어가
장롱을 뒤져 급히 홍보를 가져와서 바닥에 깔고
靑扇(청선), 紅扇
(홍선)을 내려 놓으라고 한다.
어리둥절한 사또는 왜 그러냐고 묻는다.
"폐백에 바치는 채단을 어찌 맨손으로 받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한다.
두 자루의 부채는 홍보 위에 놓여졌고
소녀는 잘 싸서 안방으로 가지고 들어갔다.
세월이 흘렀다.
사또 '양 민'이 이런 저런 업무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던
어느날,
한 노인이 사또를 뵙자고 찾아 왔다.
"몇 년 전 부임할 때 시골집에 들려
아침 식사를 하고 어느
소녀에게
靑扇(청선), 紅扇(홍선) 두 자루를 주고 간적이
있느냐"고 묻는다.
사또는 조금 생각하다가
"그런 일이 있었다. 그리고 생생하게 기억한다"고 말하며
아직도 고맙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한다.
노인은 이제서야 의문이 풀렸다는 듯 고개를 끄떡이며
다시 말한다.
"그러셨군요.. 그 여식이 과년한 제 딸년인데
그 이후로 시집을 보내려 해도
어느 곳으로도 시집을 안 가겠다고 해서
영문을 몰라 이렇게 찾아 뵙게 되었습니다."
이 말을 들은 사또의 머리 속엔
어떤 느낌이 스쳐 지났는지
모두 느끼리라.
"그 정성이 지극하거늘 내 어찌 모른 척 할 수 있겠소.
날짜를 잡아 아내로 맞겠소"
식사 한끼 얻어 먹고 대가로
부채 두 자루 선물했으면 밥값으로 충분할텐데,
졸지에 아내로까지 맞이하게 되었으니
운명의 장난인가,
신의 축복인가!~
어디 삼류 드라마 같은 이 이야기는 실제 이야기이다.
이 소녀가 바로 후에 楊士彦의 어머니가 된다.
중요한 이야기는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사또는 정실 부인이 있었고
이 부인과의 사이에 '양사준'
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그리고 후처, 즉 소실인 이 소녀와의 사이에
士彦(사언)과 사기, 두 아들이 탄생한다.
사준, 사언, 사기 , 이 삼형제는 자라며
매우 총명하고
재주가 뛰어 났으며 풍체도 좋아 주변으로부터 칭송이
끊이질 않았다고 하며,
형제애가 깊어
중국의 '소순, 소식,
소철' 삼형제와 비교되기도 했다고 한다.
정실 부인이 죽고 모든 살림 살이를
후처인 사언의 어머니가
도맡아 하게 되고 아들들을 훌륭하게 키웠다.
그러나 아들들이 아무리 훌륭하면 뭣하냐 서자들인데...
이 소실부인의 서러움과 한탄은
적자가 아닌 서자를 낳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소실부인의 꿈은
자기 아들들의 머리에서
서자의 딱지를 떼 내는 일이었다.
남편 '양 민'이 죽고 장례 날에
가족들이 모두 모인 자리에서
눈물 흘리며 말한다.
"양씨 가문에 들어와 아들을 낳았으며,
아들들이 재주있고
총명하며 풍체도 있거늘 첩이 낳았다 하여 나라 풍습은
그들에게서 서자의 너울을 벗겨주지 않는다."
그러면서 장손인 적자 양사준에게 울면서 부탁한다.
"첩이 또한 이 다음에 서모의 누를 가지고
죽은 후라도 우리 큰 아드님께서는
석 달 복밖에 입지 않으실 터이니,
이리되면 그때 가서 내가 낳은 두 아들은
서자 소리를 면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니 내가 지금 영감님 성복날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
복제가 혼돈하여 사람이 모르게 될 것입니다.
내 이미 마음을 다진 몸, 무엇을 주저 하오리까 만은
내가 죽은 뒤 사언, 사기 두 형제한테
서자란 말로 부르지
않겠다고 약속하면
죽어서도 기꺼이 영감님 곁에 누울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바로 양사언의 어머니는
가슴에 품고 있던 단검을
꺼내 자결을 하고 만다.
아들들이 그녀를 부둥켜 안았을 땐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다.
자기 아들을 서자의 멍에를 풀어주고
떳떳하게 세상을 살아
가게 하고 싶었던 여인, 죽음으로써 부조리한 인간 차별화를
타파하고 싶었었던
선구자적인 新女性(신여성), 이 어머니의
죽음은
楊士彦(양사언)이 더욱 훌륭한 文人(문인)이 되는데
자양분이 되었으리라.
楊士彦은 후에 장원급제하여 높은 관직에 오르게 된다.
어머니의 끝없는 사랑은 어디에서 나오는 걸까...
楊士彦(양사언)은 만호 한석봉과 추사 김정희와 더불어
조선 3대 名書藝家(명서예가)이자 文人이다.
士彦의 호가 蓬萊(봉래)인데,, 士彦(사언)이
관직에 올라 지금의 철원 사또로 부임하게 되고
자연히 지척에 있는 금강산을 자주 찾아
금강산의 매력에 흠뻑 젖어 살게 되었다.
여름 금강산을 蓬萊山(봉래산)이라 함은 모두 알 터,
그래서 호를 蓬萊(봉래)라 하였다.
금강산을 노래하고 금강산을 그린 사람이
어디 한둘이겠는가, 만은 얼마나 금강산을
사랑했으면 자기의 호를 蓬萊(봉래)라 했겠는가..
이 작품은 그의 장기인 초서가 유감없이 드러난 것으로
활달 분방한 필세가 잘 나타나 있다 하며,
[봉래산인(蓬萊散人)].[양사언인(楊士彦印)]의
도장 2과(顆)가 찍혀 있다.
霜餘水反壑 (상여수반학) 서리 녹아 내린 물 계곡으로 흘러가고
風落木歸山 (풍락목귀산) 바람에 진 나무잎도 산으로 돌아가네
염염歲華晩 (염염세화만) 어느덧 세월흘러 한 해가 저물어
昆蟲皆閉關 (곤충개폐관) 벌레도 모두 다 숨어 움추리네
(모셔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