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과 운명

일반자료 2023. 7. 8. 08:47

글 찾기 (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숙명과 운명

요즘 들어 ´사람 팔자(八字) 변화(變化)의 수(數)는 물든 의식(意識)으로는 참 알 수가 없구나!´라는 생각이 많이 든다. 복(福)인 줄 알았는데 복이 아니었구나. 화(禍)(禍)인 줄 알았는데 그게 복이었구나.

인간만사(人間萬事) 새옹지마(塞翁之馬)라고 한다. 잘 된다고 앞으로도 계속 잘된다는 보장이 없고, 안된다고 앞으로도 계속 안 될 거라는 보장은 없는 셈이다. 화든 복이든 어차피 지어놓은 그것에 관한 결과로써 오는 것이라면 받아야 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어쩔 수 없는 것으로 치부(置簿)해서 손 놓고 기다린다면 그것은 자기의 인생(人生)을 스스로 숙명(宿命)으로 전락(轉落)시켜 버리는 꼴이 된다. 숙명(宿命)이란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자기의 인생 팔자는 숙세(宿世)의 업(業)으로 인해서 정(定)해져 있기에 어떻게 해서도 바꿀 수가 없다´라고 보는 것을 말한다. (서양 종교에서는 ´숙세의 업´이 아닌 어떤 초월적인 절대자에 의해서 정해진 것이라고 한다)

모든 것이 이미 숙명(宿命)적이라면 공부할 필요도 없고, 수행(修行)할 필요도 없고, 애쓸 필요도 없을 것이다. 숙명으로 받아들인다면 숙명이 되겠지만, 운명(運命)으로 받아들인다면 운명적인 것이 된다. 운명(運命)이란 말 그대로 명(命), 즉 자기의 인생을 자기가 운전(運轉)해 간다는 말이다. 자기가 운전해 가는 것이기에 운전하는 주체(主體), 즉 자기 자신의 상태나 수준에 따라서, 그리고 운전해 나가려는 방향과 열정(熱情)에 따라서 자기의 인생(人生)은 달라진다.

부처님께서는 인과법(因果法)을 말씀하셨다. 세상사(世上事)의 이치(理致)는 인과(因果) 아닌 것이 없다고 하셨다. 따라서 오늘날의 ´나´는 지금까지 살아온 과정에 대한 결과물(結果物)이라고 한다. 미래의 ´나´는 앞으로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과정에 대한 결과물이 될 것이다. 이렇듯 이 세상의 이치가 인과(因果)라는 원리에 의해서 움직인다는 것은 참으로 냉정하고도 무서운 사실이다.

지금의 ´나´는 남보다 못할 수도 있고, 부족할 수도 있다. 반대로 뛰어날 수도 있다. 태어나면서부터 그런 차이는 이미 어느 정도 가지고 나왔다. 현재의 내 의식 속에는 이전 삶에 대한 기억(記憶)이 있지 않기에, 나의 무엇이 그런 차이를 있게 하였는지는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알든 모르든 원인(原因)이 있기에 그런 차이가 있었을 것이다.

태어난 뒤로 세월이 흘렀다. 사람에 따라 10년, 20년, 30년, 40년, 50년, 그 이상의 세월이 흘렀다. 세월이 흐른 지금 나는 태어나면서부터 지니고 왔던 그 차이를 얼마나 메워 왔고, 키워왔는가? 즉, 태어날 때의 나라는 결과물을 가지고 얼마나 잘 운전했는가? 그래서 나쁜 차이는 얼마나 줄여 왔고, 좋은 차이는 얼마나 키워 왔는가? 나 자신을 부정적(否定的)으로 몰아 왔는가? 긍정적(肯定的)으로 키워 왔는가? 떠밀려 왔다면 제대로 운전해 왔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숙명(宿命)과 운명(運命). 난 이 두 단어를 같은 것을 다르게 표현한 말이라고 본다. 하지만 ´명(命)´을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숙명적(宿命的)인 삶이 될 수 있고, 운명적(運命的)인 삶이 될 수 있다. 숙명과 운명으로의 갈림은 나에 의해서 나뉘게 된다는 것이다.

떠밀려 가는 삶은 숙명(宿命)이지만, 이끌고 가는[운전해가는] 삶은 운명(運命)이다. 떠밀려 가고 있는가? 이끌고 가고 있는가? 내 삶의 주인(主人)은 나인데 주인 노릇을 하고 있는가? 객(客; 손님) 노릇하고 있는가? 이왕이면 주인으로서 살아가야 하지 않겠는가? 언제 어디서나, 어떤 상황에서든. 옛 스님들은 항상 ‘수처작주(隨處作主)´*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셨다. (*´어느 곳에 있던지 주인이 되어 살아간다´라는 말)

그런데 주인으로서 살아간다는 것이 그리 쉽지 않다. 그래서 우리가 그럴 수 있는 자신(自身)으로 만들어가기 위해 자기 닦음의 공부, 즉 수행(修行)을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Zheng Ai



'일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국은  (0) 2023.07.08
감정 관리  (0) 2023.07.08
對話  (0) 2023.07.07
외톨이 소년의 바람  (0) 2023.07.07
연인의 슬픈 사랑  (0) 2023.07.07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