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비결

일반자료 2023. 3. 30. 10:26

글 찾기 (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장수비결

우리 선조들은 인생의 행복 조건으로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의 5복(五福)을 꼽았다.

때로는 유호덕 고종명이 귀(貴)나 자손중다(子孫衆多)로 대치되기도 한다.

오복에는 오래 살면서 생활이 풍족하고 건강하면 이웃을 위해 봉사한 뒤 자기 집에서 편안히 일생을 마치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다.

´수´가 제일 먼저 등장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장수가 가장 큰 소망임을 얘기해 준다.

´연산군일기´에 보면 강원도 강릉 우계 현에 1백4세나 되는 어물이(於勿伊)라는 노인이 살았다.

왕이 장수비결을 듣고 싶었던지 1499년 그를 대궐로 불러올렸다.

먹는 음식을 어떻게 드시느냐고 묻자 노인은 ˝매일 3~4차례 식사를 하고 술을 마셔도 숨이 가쁘지 않다˝고 대답했다.

˝말은 분명하나 귀가 약간 먹었다. 후히 하사품을 주어 보냈다˝는 사관의 기록도 덧붙어 있다.

풍류군주 연산군이 장수에 이처럼 관심을 가졌다는 것도 흥미롭지만 노인에게서 아무런 장수비결도 듣지 못한 그가 느꼈을 낭패감을 생각하면 재미있다.

이름만 보아도 노인은 평범한 산골 하층민이 틀림없는데 1백세 넘게 살고 5 복중 덕정(德政)을 펴지 못한 탓으로 왕위에서 쫓겨나 교동도에서 30세에 병사해야 했던 연산군은 그 노인의 평범한 생활에서 무엇인가 배웠어야 했다.

서울대 박상철 교수팀이 전국 1백 세 이상 노인 63명의 생활 습관을 조사했더니 그들이 의외의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와 화제가 되고 있다.

충분히 잠을 자고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며 맵고 짠 음식도 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데친 채소 나물을 즐겨 먹고 5명 가운데 1명꼴로 담배나 술도 즐기고 있었다고 한다.

대부분 산간지방에 살며 낙천적 활동적이라는 것도 특징이다.

한마디로 욕심부리지 않고 자연 속에서 있는 그대로 편안하게 산 ´어물이´ 노인 같은 사람들이다.

장자(莊子)는 욕심에서 비롯된 억지의 삶을 가장 어리석은 삶이라고 했다.

대선을 앞두고 요즘 물고 뜯는 권력투쟁에 돌입한 정객들이 새겨 두어야 할 장수비결이 이것이 아닌가 싶다.

1백 세는 못되더라도 천수(天壽)를 누리려면 말이다.

/고광직 논설위원 kjko@hankyung.com - 시마을 -



'일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시대의 탈 디지털화  (0) 2023.03.30
아이들 눈, 어른 눈  (0) 2023.03.30
명언  (0) 2023.03.30
개 조심  (0) 2023.03.30
상처  (0) 2023.03.30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