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겸재(謙齋) 정선의 진경산수화
(1676~1759) 죽서루(竹西樓)
천불암(千佛岩)
청간정(淸澗亭)
청송당(聽松堂)
聽松堂 / 조선 중기의 큰 선비 청송 성수침의 독서당
현재 금호동 고갯길, 독서당길이라는 지명이 남아 있음/옮긴글-
청풍계(淸風溪)
청풍계(淸風溪)
총석정(叢石亭)
해금강의 총석정을 그린 것으로 그가 여러 번 그렸던 금강산 기행 화첩에 수록된 그림 중 하나입니다. 기이하게 솟은 바위와 벼랑 끝에서 동해의 일출을 바라볼 수 있도록 세운 정자 등 실제 총석정의 모습을 신비롭기까지 하네요. 바위는 특유의 죽죽 내려 긋는 수직준법으로 그려 더욱 강한 느낌이 듭니다. 또한 바위 아래로 포말을 형성하고 있는 파도 또한 이채롭습니다 겸재의 작품에 대한 평은 김창업(金昌業)의 「稼齋燕行錄」에 의하면 김창업이 중국에 가지고 간 윤두서, 조영석, 겸재의 그림 중에서 중국인은 겸재의 그림이 제일 낫다고 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楓皐 김조순(金祖淳), 錦石 박준원(朴準源), 등은 각각 '中古以來 東國第一名手', '神筆', '東國百年 無此手'라 평했습니다. 또 강세황은 '東國眞景에 가장 용하다'고 했으며, 신위는 '玄齋는 고법을 模하되 自運이 모자라고 謙齋는 자운이 있고 또 옛을 모하여 더불어 두 가지 다 묘에 이르렀으니 二家의 우열은 如此다'고 평하기도 했지요.이병연(李秉淵) 또한 '겸재는 일찌기 박연폭, 삼부연폭, 금강십이폭을 그렸는데 그림들을 보니 필력이 가장 웅혼해서 흡사 그림을 그린 종이 위에서 '물방울이 튀기는 듯하구나. 안개처럼 엷게 뛰어 오르는 물방울은 참으로 아름다워 보는 이로 하여금 두려움을 느끼게 한다.'고 극찬을 하기도 했습니다.
사실....이와같은 극찬이 전혀 과장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듯 얼마전 간송미술관에서 그의 작품 전시명이 "대(大)겸제전" 이었습니다. 겸재의 위상을 잘 드러내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옮긴글-
취미대(翠微臺)
풍악내산총람(風岳山內總覽)
피금정(披襟亭)
필운대(弼雲臺)
한벽루(寒碧樓)
해산정(海山亭)
행호관어(杏湖觀魚)
화강백전(花江栢田)
화적연(禾積淵)
양천현아(陽川縣衙)
양화환도(楊花喚渡)
여산초당(廬山草堂)
우천(牛川)
월송정(越松亭)
은암동록(隱岩東麓)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겸재(謙齋)정선(鄭敾,1676∼1759)은 우리나라의 산천을 독자적 화법으로 그려내어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풍을 확립시킨 동시에 진경산수화의 발달에 지대한 공로를 남긴 화가입니다.
각지를 직접 여행하면서 그 체험을 바탕으로 한 진경산수화는 실제의 경치를 그린 그림을 뜻하지만 세속적인 평범한 경치가 아닌 신선이 사는 깨끗한 곳을 이르는 말이기도 해서 실경산수화와 차별됩니다.
겸재는 전통적인 절파계의 북종화법과 새로이 유입된 남종화법을 결합시켜 자신만의 독창적인 화법을 창안해 내는데, 이러한 화법을 토대로 우리나라 제일의 명승지인 금강산을 비롯하여 전국 각지의 빼어난 경치를 사생(寫生)하여 화폭에 담았습니다./옮긴글-
자하동(紫霞洞)
紫霞洞 / 지금의 종로구 청운동 부근
장안사(長安寺)
겸재의 화풍은 많은 후배화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겸재 일파(一派)를 형성하였으며, 민화의 금강산 그림에서도 그 잔영을 엿볼 수 있습니다.
겸재와 이웃에 살면서 30여 년간 교유하였던 조선후기의 문인화가인 관아재(觀我齋) 조영석은 "겸재 스스로 새로운 화법을 창출하여 그간의 병폐와 누습을 단번에 씻어버렸고, 그 결과 조선의 산수화법이 겸재에서 비로소 새롭게 출발하였다"라는 말을 하기도 했는데 이 말이야말로 겸재 미술세계의 의의를 단적으로 표현한 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옮긴글-
장안사비홍교(長安寺飛虹橋)
장안연우(長安烟雨)
장안연월(長安烟月)
정양사(正陽寺)
정자연(亭子淵)
종해청조(宗海聽潮)
정선 / 인왕제색(仁王霽色)도
겸재(謙齋)정선(鄭敾,1676∼1759)은 우리나라의 산천을 독자적 화법으로 그려내어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풍을 확립시킨 동시에 진경산수화의 발달에 지대한 공로를 남긴 화가입니다.
각지를 직접 여행하면서 그 체험을 바탕으로 한 진경산수화는 실제의 경치를 그린 그림을 뜻하지만 세속적인 평범한 경치가 아닌 신선이 사는 깨끗한 곳을 이르는 말이기도 해서 실경산수화와 차별됩니다.
겸재는 전통적인 절파계의 북종화법과 새로이 유입된 남종화법을 결합시켜 자신만의 독창적인 화법을 창안해 내는데, 이러한 화법을 토대로 우리나라 제일의 명승지인 금강산을 비롯하여 전국 각지의 빼어난 경치를 사생(寫生)하여 화폭에 담았습니다./옮긴 글-
정선 / 금강전도 특히 평생 여러 차례 금강산 일대를 유람하였고 100여 폭에 이르는 금강산 그림을 그렸는데, 금강산의 수많은 봉우리들이 한눈에 들어오도록 부감법(俯瞰法)을 써서 구도를 잡은 금강전도(金剛全圖)를 많이 그렸습니다.
뾰족한 암봉은 수직준법(垂直준法)으로, 나무숲이 우거진 토산은 미점준(米點 )으로 표현하였는데, 이러한 그의 화풍은 산에 바위가 많고, 소나무가 많이 자라는 우리 산야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지요./옮김 글ㅡ
정선 / 삼일포
겸재의 생애
정선은 본관 광주(光州). 자 원백(元伯). 호 겸재(謙齋)·난곡(蘭谷)으로 숙종 2년(1676)년 1월 3일 아버지 時翊(1638-1689)과 어머니 밀양 박씨(1644-1735)의 사이 2남 1녀 중 장남으로 서울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정선의 5대조인 應奎는 무과에 급제하여 水軍節制使, 慶源府使를 지냈으며, 고조부인 演은 음서로 同知中樞府事를 거쳐 戶曹判書에, 증조인 昌門은 司僕寺正에, 조부인 綸이 좌승지에 올랐고, 아버지 時翊은 戶曹參判에 추증되었으나 나이 40에 가까워 정선을 낳아 정선의 입신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했습니다.
정선은 비록 출중한 가문은 아니더라도 사대부 가정에서 성장하였고 어려서부터 그림에 남다른 재능을 보였습니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이웃에 살던 노론의 거두 김수항의 아들인 김창집(金昌集) 형제의 도움으로 그림에 대한 재능을 살려 궁중의 繪事를 맡으면서 贈戶曹參判이었던 아버지나 贈左承旨였던 할아버지를 빌어 음서로 종6품인 衛率에 초사되었지요.
그는 예술을 사랑하는 당대의 유명한 문인들과도 긴밀한 교유를 하였는데, 이들과의 사귐은 그의 회화 세계를 넓히는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이런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자기만의 독특한 필법을 개발하여 강한 직선의 수직준법, 대담한 산형의 변형, 굵은 미점 등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자연미의 특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했으며
회화사의 한획을 긋는 진경산수의 세계를 현란하게 펼쳐내었던 것입니다. 안정된 현실적 토대위에서 그는 어느 화가보다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사실 그 누구도 그의 진정한 계승자가 되지는 못했지만 후대 화가들에게 위대한 한 전형이 되었을뿐 아니라 당대 어떤 화가보다도 가장 많은 영향을 끼쳤다는데 이견이 없습니다.
1733년에 淸河縣監을 지내는데 이때 영남 일대 58곳의 명승고적을 담은 화첩인 嶠南名勝帖을 그렸고 1734년에는 그의 대표적인 작품이랄 수 있는 金剛全圖의 완성을 보았습니다.
정선 / 박연폭포 1740년에는 양천현령으로 부임하여 京外名勝帖을 제작하였고 이때 가장 왕성한 회화활동을 했습니다. 1754년(79세)에는 司도寺(궁중의 미곡과 장을 공급하는 기관)의 종4품 僉正이 되었으며 이때 賤技로 이름을 얻어 승급함은 부당하다는 간언을 받기도 하나 영조의 배려로 다음해인 1755년에는 정3품 僉知中樞府事로 81세 되던 1756년에는 종2품인 嘉善大夫 同知中樞府事로 승직되기도 하지요.
이처럼 다른 예술가들의 생애와 비교해볼때 비교적 순조롭고 평탄한 출세가도를 걸었던 점이 바로 그가 그 어떤 화가보다 다작을 낼 수 있었던 요인이며 거침없는 산천주유를 할 수 있었던 바탕인 것입니다.
겸재는 이처럼 평생 큰 부침없이 그림에만 몰두하다가 1759년(영조 35년) 3월에 84세의 일기로 숨을 거두었습니다./옮긴 글 ㅡ
정선 / 구룡폭포 겸재의 주요 작품들
금강산 = 金剛全圖, 金剛內山圖(3점), 海金江圖(2점), 正陽寺圖(4점), 萬瀑洞圖(4폭), 通天門巖圖(4점), 叢石亭圖(7점), 毘盧峰圖(2점), 穴望峰圖(2점), 金剛臺須彌塔圖(1점), 楓嶽畵帖(13점), 삼부연, 인왕산= 인왕산도, 인왕제색도, 백운동도, 풍계임류도, 청송당동, 청풍계도, 장동춘색도, 장동팔경화첩(8면), 인곡유거도, 수성구지도, 필운대도,
서울근교= 경복궁도, 세검정도, 동소문도, 동문조도도, 서교찬의도, 목멱산도, 부자묘노회도, 북단송음도, 압구정도, 장안연우도, 사송도, 사직송도, 노송도, 노송영지도, 송석도, 송선도, 송학도, 연연견남산도, 함흥본궁송도, 노백도, 직절당도 그외 진경산수화로는 영남 지방의 명승과 고적을 58곳을 그린 교남명승첩과 해인사도, 연강임술첩, 임진적벽도, 연광정도, 구담도, 계상정거도, 삼부연도, 등이 있습니다. /옮긴 글 -
仁谷精舍 / 인왕산 아래 있던 겸재 정선의 집
仁谷幽居 / 현재의 종로구 옥인동 부근. 정선이 살던 집을 그린 것
聽松堂 / 조선 중기의 큰 선비 청송 성수침의 독서당
현재 금호동 고갯길, 독서당길이라는 지명이 남아 있음
紫霞洞 / 지금의 종로구 청운동 부근
彰義門
楓溪遺宅 / 현재의 북악산 아래 유란동 부근. 겸재 정선의 외가
이 집은 정선의 외할아버지가 살던 곳을 그려낸 것입니다. 그의 외할아버지 댁은 청풍계에서 제법 알아주는 집안이었고, 어릴 때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정선의 가정을 돌보아 주셨습니다. 정선은 붓을 들어 그 외할아버지에 대한 감사함과 그리움을 담아 표현하였습니다. 그림의 오른쪽에는 “풍계유택” 이라고 적었습니다./옮긴 글ㅡ
楊花津 / 지금의 마포구 합정동 절두산
二水亭 / 지금의 강서구 염창동 도당산 꼭대기에 있던 정자
逍遙亭 / 지금의 양천구 가양동 부근
小岳樓 / 지금 강서구 가양동 성산 기슭에 있던 누각
歸來亭 / 죽소 김광욱이 행주 덕양산 기슭에 지은 정자
樂健亭 / 지금의 행주대교 부근 고양시 덕양구 덕양산 자락에 있던 정자
開花寺 / 지금의 강서구 개화동 개화산 약사사
銅雀津 / 지금 동작대교가 있는 동작나루를 그린 것
仁王霽色 (국보 216호) / 비 오고 나서 구름이 걷히기 사작할 무렵의 인왕산
三勝亭 / 춘재 이중희의 정자. 지금의 사직동 언저리
石室書院 / 지금의 경기도 미금시 수석동 부근. 김상헌의 묘소가 있던 곳
廣津 / 현재의 광진구 광장동 아차산 일대를 그린 것. 워커힐 호텔이 있는 곳
鴨鷗亭 / 세조 때의 공신 한명회의 별장. 현재 강남구 압구정동
淸風溪 2
원래 청풍계는 “푸른 단풍나무가 많은 곳”이라는 뜻으로 불리웠으나, 후에는 “푸른 바람이 부는 계곡”이라는 뜻으로도 전해졌습니다. 그 의미만으로도 가슴이 시원해지는 그 곳에는 정선의 스승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정선은 소나무, 버드나무, 느티나무 등이 가득한 이 계곡에 대한 감상을 따뜻하면서도 웅장하게 표현하였습니다.
서울은 풍수지리학에서 말하는 명당의 조건을 거의 완벽하게 갖춘 천하으뜸의 명당이다. 삼각산이 조산이고, 백악산이 현무가 되며, 낙산이 청룡, 인왕산이 백호, 남산이 주작이 되어 거대한 비단 주머니꼴을 하고 있다. 거기에 동쪽의 안암산, 서쪽의 안산, 남쪽의 관악산이 한겹 둘러싸서 겹주머니 형태를 하고 있으니 천연의 요새라 할 만하다.
물길은 한반도에서 제일 큰 강인 한강이 동북쪽에서 흘러와 서울의 남쪽을 휘감아 돌며 서북쪽으로 흘러 바다에 이른다. 천연의 해자가 동, 남, 서를 에워 싼 형국이다.
이런 지리적 요건을 갖추기도 쉽지 않은데, 삼각산으로 내려 온 산맥 전체가 백색 화강암으로 백운산, 인왕산, 낙산이 모두 한 덩이 거대한 흰 빛 바위인듯 솟구쳐 있다.
그러니 그 사이 사이에 펼쳐진 계곡은 기임절벽과 맑고 깨끗한 물 그리고 솔숲 등 수목이 어우러지면서 그 아름다움을 절정으로 끌어올린다.
뿐만 아니라 이런 산줄기와 시냇물들이 3면을 휘감아 나가는 한강과 마주치면서 갖가지 낭떠러지와 산등성이, 모래벌판, 모래섬 등을 만들어 냈다. 이에 한양 서울의 강산풍경은 천하 제일이 될 수밖에 없었다.
겸재 정선은 자신이 나고 자라 평생을 살던 터전인 백악산과 인왕산 일대를 중심으로 한양 서울 곳곳을 문화유적과 함께 진경으로 사생해 남겨 놓았다. 뿐만 아니라 서울을 3면으로 둘러싸면서 산과 시내를 만나 절경을 이루고 수많은 문화유적을 담아 낸 한강변의 명승지도양수리 부근에서부터 행주에 이르기까지(1676~1759) 배를 타고 오르내리면서 진경산수화로 사생해 남겼다. 최완수/겸재의 한양진경 중에서
겸재 정선 국보급 그림 21점 돌아왔다
[중앙일보 송의호.박지영 조선의 대표적인 화가의 작품 수십 점이 독일 땅에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된 것은 유준영(전 이화여대 미대 교수)씨였다. 유씨는 "이국 땅에서 조선시대 최고 화가의 작품을 봤을 때의 감격은 이루 말할 수 없다"며 "박물관 측의 양해를 얻어 작품 사진을 찍는 등 기록으로 남겼다"고 말했다. 유씨는 이를 바탕으로 '독일에 있는 겸재의 회화, 오틸리엔수도원에 있는 수장 화첩의 첫 공개'(77년)라는 글로 화첩의 존재를 세상에 알렸다. 그림은 수도원의 작은 박물관에 전시됐다. 본래는 하나씩 분리돼 있었으나 독일에서 화첩 형태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때부터 오틸리엔수도원을 방문한 한국인들이 수도원 관계자에게 "한국의 국보급 문화재"라며 "저렇게 둘 물건이 아니다"는 말을 되풀이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오틸리엔이 소장한 방대한 한국 관련 필름 자료와 문화재 등을 접한 뒤 한국으로 가져갈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고 한다. 기회가 왔다. 그가 오틸리엔수도원에서 수행할 당시 동료이자 절친한 친구이던 예레미야스 슈뢰더가 오틸리엔수도원의 아빠스(대수도원장)가 된 것이다. 수도원 관계자는 "선 신부는 2009년이면 오틸리엔수도원이 한국에 진출한 지 100년이 되는 특별한 해임을 강조하며 특별 행사로 한국문화재의 반환보다 더 의미 있는 일은 없다고 그를 설득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선 신부는 "설득 과정이 참으로 힘들어 때로는 압박성 발언을 하기도 했다"며 "해외에 반출된 문화재를 의미 있게 반환한 선례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34년에는 중국 옌지에도 수도원을 세웠다.
겸재 정선의 ‘야수소서’
|
'회화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장巨匠들의 그림 (0) | 2015.03.07 |
---|---|
돌(石)에 그린 그림 (0) | 2015.02.07 |
영국의 女人이 마음으로 그린 90년 전 한국과 한국인 (0) | 2015.01.20 |
Ford Smith (0) | 2014.07.11 |
툴루즈 로트렉(Taulouse Lautec) 명화 (0) | 2014.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