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오는가 북쪽엔 함박눈 쏟아져내리는가 험한 벼랑을 굽이굽이 돌아간 백무선 철길 우에 느릿느릿 밤새어 달리는 화물차의 검은 지붕에 연달린 산과 산 사이 너를 남기고 온 작은 마을에도 복된 눈 내리는가 잉크병 얼어드는 이러한 밤에 어쩌자고 잠을 깨어 그리운 곳 차마 그리운 곳 눈이 오는가 북쪽엔 함박눈 쏟아져내리는가 /이용악(1914~1971) 이용악 시인은 함북 경성이 고향이다. 그는 동향의 선배 시인이었던 김동환 시인이 북방을 노래한 이후 북방으로 유이민의 길에 오른 사람들의 비극적인 삶과 그곳의 처참한 현실을 줄곧 노래했다. 시인은 첫 시집 '분수령'의 맨 앞에 실은 시 '북쪽'에서 '북쪽은 고향/ 그 북쪽은 女人이 팔려간 나라'라고 썼다. 산맥이 얼어붙는 날 함박눈은 쏟아지고, 벌판과 협곡에 눈보라가 휘몰아쳐 가고, 시인은 두고 온 사랑을 생각한다. 두메산골에 두고 온 가난한 사랑을 애통해하며 떠올린다. 시인의 마음은 눈보라를 헤치고 '그리운 곳 차마 그리운 곳'으로 연거푸 내달린다. 객지의 찬 방에서 자다 깨어 이 시를 지었을 시인을 떠올린다. 슬픈 사람들끼리 주고받는 이 높은 그리움에 내 가슴이 얼 것 같다. /문태준 시인 /조선일보
많은 이가 아쉬운 삶을 살아갑니다. 한을 품고 살아갑니다.
뉘라서 남의 삶을 저울 질 할 수 있겠습니까. 만, 이들에게도 거친 숨결이 감미로운 향기로, 눈가에 어린 물기가 세상을 굴절시켰던, 한 때가 있었을 것입니다.
삶의 진수인 고통이야말로 본연의 내 모습이니 참아 안고 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