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유학자 신후담(愼後聃· 1702∼1761)이 청년 시절 개성 일대를 여행하였다. 그곳에서 이름을 밝히지 않은 어떤 산의 정상에 올랐다. 천천히 걸어 산 밑까지 와서 산꼭대기를 바라보니 꼭대기가 꼭 하늘에 닿은 것처럼 보였다. 정상에 오르면 하늘이 손아귀에 잡힐 것만 같아서 서둘러 오르고픈 의욕이 솟아났다. 힘겹게 한 걸음 한 걸음 정상에 올라온 순간, 손아귀에 잡히기는커녕 하늘은 훨씬 더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고 있다. 산 밑에서 본 것보다 더 높아 보였다. 정상에 올라와서야 알았다. 진정 높은 것은 가볍게 닿을 수 없다는 것을. 야트막한 꼭대기에 올랐다고 교만 떨지 말라! 더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이가 있다. 산꼭대기에 올랐다가 산으로부터 크게 배웠다.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조선일보
많은 이가 아쉬운 삶을 살아갑니다. 한을 품고 살아갑니다.
뉘라서 남의 삶을 저울 질 할 수 있겠습니까. 만, 이들에게도 거친 숨결이 감미로운 향기로, 눈가에 어린 물기가 세상을 굴절시켰던, 한 때가 있었을 것입니다.
삶의 진수인 고통이야말로 본연의 내 모습이니 참아 안고 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