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들

일반자료 2023. 5. 18. 08:49

글 찾기 (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아들들

성경에 “자식은 부모 앞에서 크는 것이 아니라 부모 뒤에서 큰다”라는 말이 있다. 잘못한 자식을 불러다 앉혀놓고 면전에서 아무리 훈계를 해봐야 잘 듣지 않는다. 잘못을 뉘우치고 반성하는 것 같아도 실은 반성하는 척할 뿐이다. 그런데 그 자식이 어느 날 부모를 닮았다. 부모가 걸어가는 발자취를 뒤에서 보고 은연중 저도 그 부모의 행적을 밟아 가는 것이다. 그 부모의 행적은 그 부모의 인격이 만들어내는 언어며 행동이며 일이며, 이러저러한 사회관계들이다. 30대 중반을 지나고 40대를 넘어서면서 그 어머니를 닮지 않는 딸이 몇이나 되며, 그 아버지를 닮지 않는 아들이 몇이나 되랴.

흔히들 “개천에서 용 난다”라는 말을 자주 쓴다. 개천에서 어찌 용이 날 수 있겠는가. 용은 큰 강물에서 난다. 개천에서는 피라미나 망둥이밖에 자랄 수 없다. 그런데도 미천하기 그지없는 집에서 참으로 훌륭한 자식이 나오지 않던가. 선생으로서 그 자식의 부모를 만나보면 한결같이 그 부모의 인격이 다르다. 비록 가난하고 배우지 못했지만, 마음이 곧고, 생각이 올바르다. 그, 곧은 마음 올바른 생각만큼 그 자식에게 그 부모는 용을 만들어내는 풍부한 인격의 강물이다.

반면 고관대작 억만장자의 집에 망나니 자식들이 얼마나 많이 나오던가. 뭐 하나 아쉬운 것이 없는 집에서 어째서 그 같은 자식들이 나오는가. 이 또한 그 부모의 인격이 만들어낸 자식들이다. 아무리 높은 자리에 가 있어도, 아무리 돈을 많이 모았어도 그 인격이 피라미 망둥이밖에 키워낼 수 없는, 개천이나 다름없이 얕기 때문이다. 자식을 키우는 것은 지엄한 권력도 지극한 부도 아니다. 오직 그 부모의 인격이다. 오죽했으면 “자식은 그 부모의 인격 수준 이상으로 크지 않는다”라는 말이 나오겠는가.

선지자부(善知子父)라는 오랜 속언이 있다. 자식을 가장 잘 아는 것은 그 아버지라는 것이다. 꼭 같이 그 아버지를 가장 잘 아는 사람 또한 그 자식이다. 이 세상에 누구도 그 자식만큼 그 아버지를 알지 못한다. 평생을 같이 살아온 친구도 형제도 자식만큼 그 아버지를 속속들이 알 수는 없다. 아버지가 어떻게 저 높고 높은 지위의 탑(塔)에 올랐는지, 어떻게 저 크나큰 부의 성(城)을 쌓았는지 자식은 잘 안다. 비선(秘線) 비자금, 충성과 맹세, 야유와 굴종, 부정과 비리, 거기에 예사로운 일로 일어나는 배신과 욕설과 폄하, 이합집산, 듣는 것은 “형님ㆍ아우”고, 노리는 것은 권력과 돈이다. 어찌 그 권력에 품격이 있으며, 그 돈에 양식(良識)이 있겠는가. 도덕 윤리와는 아예 담을 쌓는다. 그 자식이 어찌 그 아버지와 다름이 있겠는가. 무엇을 보고 무엇을 배우며 자라겠는가.

그런데도 폭압 정치의 폭압이 내 자식을 이렇게 만들었다고 말하고, 부패사회의 부패가 내 자식을 이렇게 만들었다고 말한다. 더러는 그 자식들을 감시하는 기구가 미흡하고 제도가 제대로 안 되어서 그렇다고도 한다. 자식은 일차적으로 내가 키우는 것이다. 내 인격과 양심, 양식으로 키우는 것이다. 사회의 그 어떤 부패도 비리도, 그 훨씬 이전에 내 가정의 도덕으로 자식은 크는 것이다. 법과 제도를 아무리 잘 만들어도 내 자식이 타락할 여지는 있다. 사회구조를 아무리 잘 개선해도 내 자식이 혼탁할 공간은 있다. 아무리 법으로 다스리고 제도로 묶어도 내 자식이 비집고 나갈 틈새는 있다. 어떤 법 어떤 제도도 그 틈새를 다 메울 수는 없다.

권력자치고 내 자식과 내 주변은 “안심해라”라고 말하지 않는 권력자가 있던가. 그 호언장담에도 그 모두가 허언이지 않던가. 그렇게 말하는 순간 이미 때가 늦었기 때문이다. 수신(修身)이 일조(一朝)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제가(齊家)가 급조(急造)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내 아들이 잘못되는 것은 으레 하는 투의 내 부덕(不德) 때문이 아니라, 바로 내 부도덕(不道德) 때문이다.

/ 송복(연세대 교수ㆍ정치사회학)-시 마을-



'일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만은  (1) 2023.05.18
껍질  (1) 2023.05.18
붕어가 화를 내다.  (0) 2023.05.18
외로움  (0) 2023.05.17
신앙은 다홍치마  (0) 2023.05.17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