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 1 삼천리 그 몇 천리를 세월 그 몇 굽이돌아 갈고 서린 한을 풀어 가을 하늘을 돌고 있네. 수수한 울음 하나로 한평생을 돌고 있네. 2 아홉 마당 열두 타작으로 잔등을 후려쳐라. 주름살 골을 따라 갈가리 찢긴 한을 한평생 돌다 지치면 내 전신을 두들겨라. 3 울거라 울거라 밤새도록 울거라 너는, 한 세상 끝날까지 닿도록 울거라 너는, 낙동강 홍수가 되어 범람토록 울거라. /박영교 징보다 깊은 울림이 있을까. 방짜 징은 그중 깊고 맑은 울림으로 이름이 높다. 에밀레종만 할까 싶겠지만, 좋은 징은 시푸른 하늘이나 깊디깊은 우물처럼 유장한 맛이 있다. 그렇게 가을 하늘이 커다란 징 같은 날은 한번 울려보고 싶다. 얼마나 길고 깊은 여운으로 번질까. 우리네 '삼천리 그 몇 천리를 세월 그 몇 굽이'를 돌아온 징. 한과 노래를 실어 온 때문인지 징소리에는 때때로 구렁이 울음이며 비원(悲願)의 춤사위 같은 게 비친다. 그렇게 '밤새도록' 울어 타 들어가는 가슴들 좀 적시고 '갈고 서린 한'도 죄 풀어주면 좋겠다. 가을도 '열두 타작' 가을로 넉넉히 거둘 수 있기를, 징소리 앞세워 빌어보는 너무 마른 가을이다.//정수자 시조시인 /조선일보
많은 이가 아쉬운 삶을 살아갑니다. 한을 품고 살아갑니다.
뉘라서 남의 삶을 저울 질 할 수 있겠습니까. 만, 이들에게도 거친 숨결이 감미로운 향기로, 눈가에 어린 물기가 세상을 굴절시켰던, 한 때가 있었을 것입니다.
삶의 진수인 고통이야말로 본연의 내 모습이니 참아 안고 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