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통인생

종로 네거리

외통 2019. 8. 31. 12:11

글 찾기 (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1539.001218 종로 네거리 엿장수

해방의 참뜻을 미처 모르고 어영부영 한 달이 지났다. 글이야 한글을 배운다고 해도 우선은 애들을 통솔해야 하는 구령을 만들지도 못하여 각 학교 나름의 임의 조치가 불가피했다. 따라서 학교마다, 선생마다 발상이 백출했다.

우선 우리들의 학교생활의 시작이 ‘안녕’(오하요:おはよう:お早う:御早う)과 ‘예’(하이:はい)가 어색하고 입술이 붙어서 소리가 나지 않았다.

구령만 해도 ‘차려’의 순우리말은 몇 달이 지나고서야 불리었고 그때까진 ‘기착!’(氣着: 기오쓰께: 차렷: きをつけ: 気を付け)이었으니, 그야말로 기가 차는 노릇이다.

일거수일투족이 구령에 의해서만 그 집단이 통솔되는 특질을 생각하면 비로써 알 수 있듯이, 학교생활에 일대 혼란이 일고 있었다.

아무 대책이 없으니, 얘들아 ‘저리 가거라.’ ‘이리 오너라.’ 식으로 됐고 집단체조나 노래는 저 멀리 사라지고 말았다. ‘갈까마귀’ 떼 모양으로 앞서가는 애를 따라갈 수밖에 없고 손짓으로 몰아가는 선생님의 수고 또한 측은하다. 우리는 공중에 던져진 풍선같이 바람 부는 대로 떠다니는 형편이 됐고, 망하는 것이 무엇이고 새로 나는 것이 무엇인지 알 턱이 없는 우리네가 이 기막힌 민족의 설움인들 알기나 했겠는가!

주도하든 일본인 선생님들은 종적을 감추고 조선인 선생만 남아서 이 반 저 반 징검다리 가르침에 애들은 무성한 상사(想思)의 급류를 타고 공산주의 나라로 자유(자본)주의 나라로 자맥질하며 떠내려간다.

아직은 우리 동요나 가곡은 보급되지 않았고 재빠른 선생님은 일본 동요 곡예다가 우리말 가사를 지어 붙여서 가르치기도 했다. 음치여서 노래를 늘 경원하던 나였지만 이런 와중에서도 잊히지 않는 단 한 가지 노래, 그 선생님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지은 노래, 지극히 단조롭고 짤막한 토막노래가 평생을 두고 잊히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다. 서울을 동경해서였을까? 아니면 노래의 멜로디가 너무나 엉킨, 엉터리 노래여서 그럴까? 이제까지 우리의 정서와 동떨어진 노래만 부르다가 우리와 친근한 지명과 우리의 생활과 이웃에서 찾을 수 있는 모습을 그려서일까? 아무튼 곡도 가사도 또렷이 생각나는 이 토막노래가 ‘오르간’ 반주도 없이 가르치는 선생님 얼굴과 교차하며 선명히 떠오른다.

‘종로 네거리에 해가 저물어/ 엿장수 늙은이가 있어 가위질하네/ 천천히 걸어가며 엿을 팔아요./ 석양에 한량(限量)없이 가며 엿을 팔아요.’

요게 모두다.



석양의 종로 거리를 지극히 간명하게 표징 하는 해방 후에 내가 배운 첫 노래, 우리 반만의 노래였다. 검증되지도 않았고 악보도 없으니, 노래책에 실리지도 않은 이 가사와 곡은 아마도 이 세상에서 이미 사라졌을 것이다. 요행을 바란다면 그때의 다른 친구들이 아직 고향을 지키면서 구전으로 전해 내려왔을 것을 바랄 뿐이다.

얼굴이 넓적하고 자그마한 키에 어깨가 딱 벌어진 이 선생님은 경성(京城:서울)에서 공부했나 싶다.

촌뜨기 시골 소년 내게 ‘종로’거리란 이름을 알려줌으로써 동경하던 서울의 풍경을 그리게 한, 그 선생님의 생사는 어찌 됐을까! 격동의 광복혼란기를 슬기롭게 엮어간 스승의 안위가 뒤늦게 궁금하다./외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