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까리

외통프리즘 2008. 6. 26. 22:24

글 찾기 (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아주까리 동네

1644.001225 아주까리 동네

증산增産의 단말마는 마을을 아주까리 동네로 만들었다.

 

아주까리가 어떤 용도에 닿는지 모르지만 어린이들을 풀어서 빈터란 빈터는 한 뼘도 남김없이 모조리 아주까리로 뒤덮도록 했다.

 

집 앞마당은 사람이 걸어들어 갈 수 있는 발 디딤 자리만 남기고 모조리 아주까리를 심게 하고 아낙네들만 들락거리는 뒤란에도, 담 밑에도, 한 길가도, 철길 둑에도, 밭둑에도, 학교운동장에도, 산기슭에도, 잠자는 자리와 걸어 다니는 발길을 제외하고는 모두 아주까리를 심도록 우리네를 졸랐다. 그렇게 되니 보이는 것은 아주까리요 말하는 것은 몇 되를 땄느냐다. 하면서 어디에 빈 땅이 있느냐고 눈치만 서로 본다.

 

가히 아주까리 홍수다. 아주까리기름과 동백기름에 얽힌 우리네의 많은 사연들은 멀리 사라지고, 한 여름에 아주까리 잎으로 모자나 만들어 쓰고 아주까리대로 물놀이의 대롱이나 만들어 노는, 우리들의 놀이감은 풍요(?)했다.

 

아무도 지금 이 아주까리를 가지고 시비하는 이는 없을 성싶다. 그러나 나는 한마디 하고 싶다.  내 나이 먹으리만큼 먹었으니 이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할 텐데 과문한 탓인지 아직 알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원통하다. 지났어도 알고 싶다.





아주까리 호롱불이 남포 불로 바뀌고
봉숭아꽃 자리에 아주까리 그늘 지워
아주까리 열매로 봉숭아 씨 외면하네.


먼 길 가는 이의 우장 갖출 필요 없이
아주까리 길 따라 성큼성큼 가노라면
볕 쪼여 걱정 없고 비 와도 걱정 없네.



고깔모자 되었다가 딸기 따 받아온들
지천인  아주까리  뉘  뭐라 할 것인가
'응애'. 아주까리 씨 왜 이리 닮았는고.



'응애'는 소의 피부에 붙어서 피를 빨아먹는 기생충인데 실컷 피를 빨아먹고 제무게를 못이겨서 땅에 떨어진다. '응애'를 닮은 인간은 없는 것인가? 생각이 미친다.

 

우리네 삶은 시대에 따라서, 사적(史的)조류(潮流)에 따라서 수없이 이지러지고 할퀴어 왔다. 순박하기만 한 이들이 이토록 끈질기게 살아남는 것도 아주까리 호롱불을 그대로 이어가는 느긋함 때문인데, 이를 못 마땅히 여기는 그들이 오히려 한 치의 땅도 남김없이 아주까리로써 덮었으니 그 것이 넘쳐나 ‘응애’가 되었다.

 

아주까리가 ‘응애’로 변하면서 떨어져서, 바다 건너 갔나보다. /외통-



'외통프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도  (0) 2008.06.27
품평회 品評會  (0) 2008.06.27
퇴비(堆肥)  (0) 2008.06.25
연필2  (0) 2008.06.25
교육  (0) 2008.06.24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