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자료

가시나무새

외통 2023. 7. 24. 17:35

글 찾기 (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가시나무새

일생에 단 한 번 우는 전설의 새가 있다. 그 울음소리는 이 세상의 어떤 소리보다 아름다운 것이다. 둥지를 떠나는 그 순간부터 그 새는 가시나무를 찾아 헤맨다. 그러다가 가장 길고 날카로운 가시를 찾으면 몸을 날린다.

죽어 가는 새는 그 고통을 초월하면서 이윽고 종달새나 나이팅게일도 따를 수 없는 아름다운 노래를 부른다. 가장 아름다운 노래와 목숨을 맞바꾸는 것이다.

그리하여 온 세상은 침묵 속에서 귀를 기울이고 신께서도 미소를 짓는다. 그 이유는 가장 훌륭한 것은 위대한 고통을 치러야만 비로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오스트리아 여류작가 콜린 맥컬로우가 쓴 {가시나무새}에 나오는 한 대목이다.

우리네 독자는 왜? 가시나무 새는 제일 길고 날카로운 가시를 찾아 헤맬까? 의문을 품는다. 이 의문에 대해서 맥컬리우는 ˝그것이 인생이지요˝라고 말한다.

우리는 행복을 위해서 가시밭길을 가고 있으며 길고 날카로운 가시에 찔리고 난 후에야 진정한 행복을 맛볼 수 있는 것이다. 위대한 고통을 치르지 않고는 진정한 성취감은 맛볼 수 없는 것이다.

사랑도 마찬가지다. 사랑이란 때론 장미꽃같이 아름다움을 만끽하면서 날카로운 가시에 찔리고 나면 사랑에 대한 더 소중한 의미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신앙생활도 마찬가지다. 자신에 최고의 헌신과 인내와 고통이 수반 될 때 신이 귀를 기울이고 최후에 신이 예비해 준 그곳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http://www.gudosesang.com -김용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