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8월 15일 환희, 감격의 서울, 그리고 눈물바다. 전 세계가 놀란 날이었다. 북한에서 비행기가 날아오고, 사람들이 오고, 또 우리가 그 비행기로 평양으로 날아가고. 꿈만 같던 일들이 모두 하나가 되어 50년 고인 회한의 눈물을 한꺼번에 쏟아 낸 서울과 평양은 잠들지 못했다.
오열, 50년 동안 참았던 눈물이 터지는 순간 혈육의 정을 이념도 뛰어넘지는 못했다. 그리고 통곡으로 꽉 찬 컨벤션센터는 감격의 물결로 큰 파도를 일으켰다.
빛바랜 사진을 들고 오열하는 이산가족들, 차라리 울음이라도 터트릴 수 있는 가족은 행복하다. 시원하게 눈물이라도 쏟아낼 수 있으면 좋으련만 그러지도 못한 다른 이산가족들과 탈북자 가족 그리고 나는 다른 사람들의 상봉에 눈시울을 적시며 그리움만 태웠다.
문득 혈육의 정이 바람처럼 불어온다.
아버지의 형제간 중 한 분 계신 작은아버지께 전화했다. 공연히 아버지의 막연한 그리움이 혈육에 대한 애잔한 정으로 쏟아졌다. 작은어머니가 전화를 받았다. 어머니가 계시지 않아 유일하게 사랑을 받을 수 있는 분이다.
˝ 작은엄마, 아버지는 북에도 안 계시나 봐요. 다른 사람들은 다 찾는데 아무 연락이 없는 것 보면.˝
˝ 그렇게 말이다. 나도 그 생각했다.˝
˝ 아버지가 돌아가신 것이 확실해요?˝
˝ 글쎄. 그때 당시 잡혀가서 목포 교도소에 계시다가 모두 바다에 수장을 시켰다고 하는데 우리가 보지 않았으니 모르지.˝
작은어머니도 시집오기 전 일이라 잘 모르고 들려오는 소문에 의한 말을 대신했다.
아버지, 한 번도 불러본 기억이 없어 무척 낯선 말이다. 처음부터 계시지 않아 내게는 필요 없는 사람처럼 느껴졌는데 많은 사람의 빛바랜 사진을 보니 내 앨범 어딘가에도 꽂혀 있는 것 같다.
학교 다닐 때 원호 대상자에게 손뼉을 쳐주는 일이 종종 있었다. 나는 육이오 때 전사했다고 손을 들어 동정의 박수를 받은 기억이 난다. 그 당시 아버지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었고 또 연좌제 관계로 출세를 못 한다는 말에 어머니는 행방불명이라는 것도 숨겼다. 누가 정보기관에 취직이라도 하려면 친인척은 물론 외가 쪽까지 신원조회가 들어가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니 누가 내놓고 이북에 있다고 하며 또 행방불명이라고 하겠는가. 나도 모르는 일이니 차라리 전사했다고 하는 것이 마음은 편했다.
모두가 비극이다. 그러나 북에서 가정을 이루고 살지언정 살아 계셔 나를 찾는다면 얼마나 기쁠까. 어머니가 반세기 동안 수절하고 2년 전에 돌아가셨다고 전할 아버지가 있다면 마음이 얼마나 시원할까. 나도 한번 아버지라고 큰 소리로 불러보고 싶다. 아버지! 역시 목이 멘다.
아버지 생각에 작은아버지와 통화를 하고 힘없이 전화기를 내려놓았다. 불러도 불러도 갈증이 오는 그 이름 아버지….
작은아버지는 아버지의 추억담을 제사 때 식구들이 모여 있는 자리에서 들려주었다.
˝ 형님은 똑똑한 분이었지. 그 시절에 축음기나 아코디언을 가지고 있는 집이 별로 없을 땐 데 어디서 구해 오는지 정말 멋쟁이셨다. 글씨도 명필이고. 형님이 명령만 내리면 우리는 죽기 아니면 살기로 복종했으니까. 그만큼 지도력이 강했고 잘 생기셨지.˝
예전에는 먼 이야기처럼 들리더니 요즈음은 가슴 한구석을 톡톡 치며 내 안으로 스며든다. 그리고는 아픔이 강물처럼 흘러내린다.
아버지가 살아 계신다면 지금 77세다. 남자 나이로는 한창나이다. 청년 시절을 세월에 다 빼앗기고 주름이 깊이 팬 자식일지라도 어머니 눈에는 아기요, 쑥스러워 손을 잡지 못해도 부인의 눈에는 첫정이 살아 있는 남편일 것이다.
누가 50년의 세월을 가로막았는가. 그리고 왜 못 만나는가.
주름진 가족들의 상봉 장면을 보면서 내가 만약 저 자리에서 아버지를 만난다면 무슨 말을 할 수 있었을까 생각했다. 딸 하나를 이 세상에 떨쳐 놓고 간 아버지는 또 무슨 말을 내게 할까. 생각만으로도 금방 가슴이 아려 말문이 막혀 버렸다. 단지 어머니의 죽음을 알리며 가슴을 칠 수밖에 없으리라.
15년 전 이산가족 찾기 때 어머니가 눈물을 흘리며 지켜보던 생각이 난다. 저 사람들 틈에 행여 소식이라도 묻어올까 봐 가슴 조이며 지켜봤을 어머니의 심정을 이제 알 것 같다. 그 당시의 어머니 마음만큼은 아니지만, 이번에는 얼굴도 모르는 아버지가 유난히 그립다.
부모와 자식들 간의 만남, 그리고 부부, 형제들과의 만남이 남과 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내 아버지는 어디에 계실까. 기약 없이 헤어진 가족들의 서러운 잔치는 오열 속에서 끝나 가는데 누가 우리 아버지를 모르시나요.? /황혜경 - 시마을 -
|